숨진 한일관 대표의 혈액에서 녹농균이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30일 한일관 대표 53살 김 모 씨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자신이 사는 아파트에서 이 아파트에 사는 최시원과 가족이 함께 기르는 프렌치불독에 정강이를 물려 6일 뒤 증상이 악화돼 패혈증으로 숨졌다.
23일 SBS 8뉴스는 "패혈증을 일으킨 원인균에 따라 사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는데 SBS 취재결과 녹농균이 검출된 게 확인됐다"며 "사망 나흘 뒤 나온 김 씨의 혈액 검사 결과에는 녹농균이 검출됐다고 유가족이 밝혔다"고도 했다.
이 매체는 "녹농균에 의한 패혈증이었지만 정확한 감염원인과 경로는 밝히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김 씨의 시신은 부검 없이 이미 화장됐다"고 설명했다.
또 "유가족 측은 최 씨 가족과 합의한 데다, 처벌을 받더라도 가벼워 실익이 없다고 판단해 김 씨의 유가족은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며 "피해자는 있지만, 처벌받는 사람은 없는 사건으로 남게 됐다"고 보도했다.
SBS 조동찬 의학전문기자는 녹농균에 대해서 "감염되면 녹색 고름이 생긴다 해서 녹농균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며 "주로 상처가 난 부위, 이번 경우에는 개에게 물린 상처가 되겠다. 그리로 침투해 감염병을 일으키는데 혈액으로 들어가 온몸으로 퍼지면서 패혈증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일차적으로는 병원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미국 워싱턴 대 연구를 보면 원래는 감염병이 없었다가 병원에 치료를 받은 뒤 감염병을 얻은 환자 가운데 14%가 바로 녹농균이었다"며 "질병관리본부 지침을 보면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녹농균이라면 일단 병원 내 감염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고 쓰여있다"고도 했다.
이어 "개의 구강에 있던 녹농균이 사람에게 감염병을 일으킨 경우가 저희가 찾아보니까 전 세계적으로 한 6건 정도밖에 안 되어서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며 "또 녹농균은 생존력이 강하고 수영장, 욕실 등 습한 생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피해자가 집에 머무는 한 5일 동안 그때 상처 부위를 통해서 감염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도 했다.
또 개에 물렸을 경우 치료 방법에 대해 "상처 부위를 통해서 균이 온몸으로 퍼치면 치사율이 30%를 넘지만 패혈증 증상이 나타난 지 6시간 이내에 항생제 치료를 집중적으로 받으면 사망률을 10% 이내로 떨어진다"며 "증세가 오기 전이라도 상처 부위가 낫지 않고 붉게 변하면서 아프면 치료를 서둘러야만 골수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