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3대 주요 지수는 퀄컴과 브로드컴의 인수·합병(M&A) 기대 등에 동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6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23포인트(0.04%) 상승한 23,548.4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29포인트(0.13%) 높은 2,591.1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2포인트(0.33%) 오른 6,786.44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장중 각각 23,574.86과 2,593.38까지 올랐고, 나스닥 지수는 6,790.67로 올라 장중 최고치도 모두 경신했다.
지수는 반도체업체인 브로드컴이 퀄컴에 인수 제안을 했다는 소식에 장 초반부터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이번 인수 규모는 부채를 포함해 1천300억 달러에 달한다. 이번 거래가 성사되면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기술기업 합병이 된다.
퀄컴의 주가는 1.2%, 브로드컴의 주가는 1.4% 상승했다.
복합 미디어 그룹인 21세기 폭스의 주가도 월트디즈니에 자산을 대부분 매각하는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에 9.9% 상승했다.
월트디즈니의 주가도 2% 올랐다.
패션 브랜드인 마이클 코어스의 주가는 실적 호조에 14.7% 급등했다. 마이클 코어스는 회계연도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33달러로 팩트셋 예상치 83센트를 상회했다.
제약회사인 밀란의 주가는 올해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밑돌았음에도 4.6% 올랐다.
회사는 3분기 순이익이 8천830만 달러(주당 16센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조정 EPS는 1.10달러로 팩트셋 예상치 1.20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매출은 29억8천700만 달러를 나타냈다. 팩트셋 전망치는 30억7천700만 달러였다.
회사는 올해 EPS 전망치를 4.45~4.70달러로, 매출은 117억5천만~125억 달러로 제시했다.
팩트셋 예상치는 EPS 4.58달러, 매출은 120억4천만 달러였다.
반면, 미국의 통신회사인 스프린트와 티모바일의 주가는 합병 논의 무산에 급락했다.
스프린트와 티모바일의 주가는 각각 11.5%와 5.7% 내렸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3분기 기업들의 실적이 세계 경제에 대한 시장의 자신감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