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3대 주요 지수는 시가총액 대장주인 애플의 시장가치가 마감가 기준 처음으로 9천억 달러를 넘어선 가운데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8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3포인트(0.03%) 상승한 23,563.3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74포인트(0.14%) 높은 2,594.3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1.34포인트(0.32%) 오른 6,789.12에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1주년인 이날 3대 지수는 내림세로 출발해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애플의 주가가 4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시가총액이 9천억 달러를 돌파한 것이 투자 심리를 개선했다.
증시는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세제안과 기업 친화적인 정책 단행 기대로 상승세를 이어왔다.
업종별로는 필수 소비주가 1%, 부동산주가 0.7% 올랐다. 반면 금융주와 에너지주는 각각 0.6%와 0.4% 하락했다. 이외에 기술주와 통신, 헬스케어주가 상승하고 산업과 유틸리티는 내렸다.
스냅챗의 모회사인 스냅의 주가는 실적 부진에 큰 폭으로 내렸지만, 텐센트가 스냅의 대규모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소식에 하락 폭이 제한됐다. 주가는 14% 내렸다.
스냅은 11월 텐센트와 계열사가 스냅 클래스 A주를 1억4천580만 주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클래스 A주의 17%이며 전체 주식의 12% 규모다.
스냅은 전일 시장 예상보다 큰 폭의 분기 손실을 발표해 첫 거래일인 지난 3월 2일보다 38% 급락한 수준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제약회사인 리제네론 제약(Regeneron Pharmaceuticals)과 비디오게임 회사인 테이크투인터랙티브 소프트웨어(Take-Two Interactive Software)는 실적 호조에 각각 2.7%와 10.6%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