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지주회사들이 계열사에서 받는 상표권 사용료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전체 매출의 1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주회사가 늘면서 기업 수익구조가 '땅 짚고 헤엄치기 식'으로 변질하고 있다는 지적에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상표권(브랜드) 수수료' 등을 의무 공시하는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다.
13일 재벌닷컴이 자산이 5천억 원을 넘는 대기업 지주회사 중 상표권 사용료 수익을 올린 13개사를 대상으로 매출 구성 내역을 분석한 결과 상표권 사용료 수익은 7천74억 원으로 전체 매출 4조7천356억 원의 14.9%로 집계됐다.
조사대상 중 동아쏘시오홀딩스, 제일홀딩스, 코오롱, 한솔홀딩스,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한진칼 등 6개사는 계열사에서 받는 상표권 사용료가 전체 매출의 절반이 넘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지난해 동아제약, 동아에스티 등 계열사로부터 받은 상표권 사용료 수익이 326억 원으로 전체 매출 553억 원의 58.9%에 달해 상표권 사용료 수익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하림그룹 소속 제일홀딩스는 전체 매출의 58.7%인 22억 원이 상표권 사용료 수익이었다. 코오롱은 상표권 사용료 수익이 전체 매출의 58.2%인 306억 원, 한솔홀딩스는 전체 매출의 53.8%인 130억 원에 달한다.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는 지난해 전체 매출 903억 원 중 상표권 사용료 수익이 479억 원으로 53%에 달했고, 한진칼도 전체 매출의 51.2%인 308억 원이 계열사로부터 받은 상표권 사용료 수익이었다.
사용료 절대액수로 보면 LG그룹의 지주회사인 LG가 가장 많았다.
LG는 전체 매출 6천140억원 중 계열사 등으로부터 받은 상표권 사용료 수익이 40.4%인 2천478억원이었다.
SK그룹 지주회사인 SK가 전체 매출의 6.5%인 2천37억 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고, GS그룹의 GS는 매출의 18.2%인 681억 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