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한국판 골드만삭스'를 추구하며 초대형 투자은행(IB) 5곳이 첫발을 뗐지만 아직은 걸음마 수준이다.
정부는 향후 '자기자본 10조원' 이상의 명실상부한 초대형 IB 탄생을 위해 증권사 대형화를 계속 유도할 방침이어서 그 실현 여부가 주목된다.
1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자기자본은 미래에셋대우 7조1천498억원, NH투자증권 4조6천925억원, 한국투자증권 4조3천450억원, 삼성증권 4조2천232억원, KB증권 4조2천162억원 등이다.
증권사들이 그동안 초대형 IB 지정 요건을 갖추고자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몸집을 불려왔지만 외국 초대형 IB들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신생아 수준이다.
지난 2015년 말 기준으로 미국계 IB 골드만삭스는 자기자본이 102조원이 넘고 모건스탠리는 88조5천억원이다.
아시아 지역 증권사들도 국내 최대 증권사인 미래에셋대우를 능가한다.
이런 이유로 금융위원회는 이번 첫걸음에 만족하지 않고 자기자본 10조원 이상의 초대형 IB 출범을 위해 지속적인 대형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본시장의 기업금융 기능을 제고하고 자본력과 혁신형 기업에 모험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증권사가 경쟁 우위를 갖도록 여건을 조성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경쟁력을 갖춘 초대형 IB로 발전하도록 하기 위해 자기자본 규모에 따라 신규 업무를 허용하고 있다.
금융위가 중장기 목표로 하는 자기자본 10조원의 초대형 IB로 가는 길목마다 '당근‘을 제시할 계획이다.
금융위가 초대형 IB 역할 제고에 나선 데는 은행과 벤처캐피탈 등이 혁신형 기업에 투자하거나 자금을 공급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도 고려했다.
은행은 엄격한 건전성을 요구하는 등 혁신기업 대한 과감한 투자가 어렵고 벤처캐피탈은 자본력이 취약해 자금 공급 절대 규모가 작을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위의 판단이다.
이처럼 은행만 가능하던 일부 업무가 초대형 IB에도 허용돼 은행권은 반발하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초대형 IB 지정을 앞둔 지난 9일 "초대형 IB 업무가 기존 은행 역할과 겹치는 부분이 많아 업무 권역 간 형평성 문제가 있고 금융감독이 단일업무 권역에만 한정된 현 상황에서 초대형 IB 업무확대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초대형 IB의 발행어음 등 단기금융업 인가 보류를 촉구했다.
그러자 금융투자협회는 "발행어음은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고 발행사의 신용을 바탕으로 발행되는 금융상품이라는 점에서 은행 예금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고 은행의 기존 업무와 겹치는 기업대출도 일부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초대형 IB 지정 직후 "생산적 금융을 통한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은 특정 금융업권의 전유물이 아니다"며 아직 금감원 심사가 마루되지 않은 증권사들도 단기금융업 인가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