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전 신뢰도 9.5%…전기료 인상 전 불신 해소가 선행

한전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요금 정책을 신뢰하는 사람은 10명에 1명도 안 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이승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연구위원이 10월 19∼30일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성인 1천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한 결과에 따르면 한전을 '신뢰한다'는 긍정적 답변은 9.5%에 불과했다.

반면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거나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53.7%에 달했으며, '보통이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36.9%였다.

이 연구위원은 이처럼 한전의 신뢰도가 낮은 이유로 '이윤 추구', '정보제공 노력 부족', '누진제', '용도별 요금 차별화' 등 전기요금과 관련한 부정적 문제 인식을 꼽았다.

특히 '주택용과 비주택용 전기요금 체계'에 대해 설문 대상자의 76.8%는 '공정하지 않다'고 답했고, '여름철 개문영업 상가 등을 보며 가정에서 그렇지 못한다는 사실에 박탈감을 느끼는가'라는 질문에 80.1%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저탄소·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개편의 국민인식 현황' 토론회에서 이 같은 설문 결과를 발표하면서 국민이 전기료 인상을 수용하려면 한전의 신뢰회복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전은 (전기요금 개편에 대한) 수용성 제고를 위해 전기요금 자체뿐 아니라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사회문화 전반에 대한 불신감 해소와 관계 회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한전 설문지

토론회를 주최한 홍의락(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기요금은 민감한 이슈 중 하나로 국민적 불신이 매우 높은 게 현실"이라며 "갈등을 최소화하려면 국민의 태도·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