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9년까지 1회 충전에 250㎞를 달리는 1t(톤) 전기화물차가 개발된다. 2021년까지는 레이더 등 자율주행 핵심부품 9개가 국산화되며, 평창올림픽에는 수소 버스가 투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미래차 기술로드맵' 공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산업부가 제시한 미래차 범주에는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이 포함된다.
산업부는 우선 중소·중견 부품기업과 함께 2019년 출시를 목표로 1회 충전에 주행거리가 250㎞ 이상인 1t 전기화물차를 개발하기로 했다. 현재 국내 전기화물차의 경우 0.5t 차량을 개조한 차량이 운행되고 있을 뿐 1t급은 없는 상태다.
산업부 관계자는 "1t 전기화물차가 개발될 경우 택배용 등으로 수요가 많이 몰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또 전기차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해 배터리의 에너지밀도를 두 배 이상 끌어 올리는 '고밀도 이차전지 개발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오는 2020년까지 양극, 음극 등 에너지밀도 향상에 필요한 4대 소재를 개발할 방침이다.
5분 충전으로 200㎞ 주행이 가능하게끔 충전인프라도 개선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아울러 2021년까지 레이더, 영상센서 모듈, 데이터 저장 장치, 통신모듈, 정밀 디지털 맵, 자율주행 제어장치 등 수입의존도가 높은 자율주행 9개 핵심부품을 국산화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2020년까지 차량 빅데이터 제공 작업도 마무리하기로 했다.
내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수소버스가 시범 운영된다.
아울러 산업부는 수소차 가격을 낮추기 위해 수소저장장치 등 핵심부품과 관련한 기술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이 수소저장장치 장착을 통해 2019년까지 1회 충전거리 300㎞ 이상인 도심주행용 수소버스를 만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