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sk](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27102/sk.jpg?w=600)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강조해온 '기업 자산 공유 인프라 구상'이 SK주유소 관련 사업을 통해 처음으로 윤곽을 드러냈다.
SK이노베이션은 자회사인 SK에너지가 보유한 전국 주유소 3천600여개를 공유 인프라로 제공하기로 하고 전 국민을 상대로 한 사업모델 개발을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공유 대상은 전국 SK주유소의 자산 전부다. SK주유소가 가진 주유기, 세차장, 유휴부지 등 유형자산은 물론 사업구조, 마케팅 역량, 경영관리역량 등 무형 자산까지 아우르게 된다.
SK이노베이션은 이 같은 유·무형 자산을 활용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기 위해 이날부터 '주유소 상상 프로젝트' 행사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다음 달 30일까지 인프라 공유를 위한 아이디어를 신청 받는다. 심사를 거쳐 비즈니스 모델과 아이디어 각 8개를 선정할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은 사업모델 선정자들에게는 실질적인 공동사업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좋은 아이디어를 낸 대학생에게는 공채 입사 때 서류전형에서 가산점도 준다.
SK이노베이션은 "전 국민이 알려줄 아이디어들이 업계 점유율 1위의 주유소 유·무형 자산에 접목됐을 때 큰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전 국민과 함께 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 창출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의 이번 프로젝트는 최태원 회장이 강조한 경영 화두 중 하나인 '공유 인프라'가 토대다.
공유 인프라는 유·무형의 기업 자산을 협력업체,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사회적 기업 등과 나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자는 게 골자다.
SK이노베이션은 "단순한 자산 공유가 아니라 자산을 이용하는 양쪽 모두에게 효율성 증대, 새로운 수익원 확보 등의 경제적 가치를 새롭게 창출한다는 점에서 기존 사회공헌 개념과는 차별화된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