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작년 농식품 수출 사상 최대 실적 …68억 달러 기록

농식품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드보복' 여파로 대(對)중국 수출이 급감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정한 목표 달성에는 실패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7년도 농식품 수출이 전년보다 5.6% 증가한 68억2천87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최대치라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품목별로 보면 가공식품 수출액이 57억3천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라면 수출액은 전년 대비 31.2% 급증한 3억8천100만 달러로, 사상 처음으로 3억 달러를 넘어섰다. 대중국 라면 수출액이 1억 달러를 처음 돌파하고 동남아 및 미국에서 한국 라면이 인기를 끈 점 등이 수출 급증을 이끌었다.

이에 비해 신선 농산물 수출액은 11억달러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 딸기(4천400만달러·29%↑)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데 이어 인삼류(1억5천800만달러·18.7%↑) 수출 증가율도 두 자릿수를 기록한 반면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영향으로 가금육류 수출이 58.7% 급감한 1천700만 달러에 그쳤다.

국가별로 최대 수출시장인 일본으로의 수출은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대일본 수출은 2012년 이후 매년 감소했으나 지난해에는 13억1천4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3.4% 급증했다.

문재인 정부의 신(新)남방정책 대상인 아세안 시장으로의 수출 실적도 전년 대비 9.3% 증가한 12억1천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아세안 시장은 AI 발생에 따른 닭고기 수출 차질에도 라면, 딸기 등의 수출 확대에 힘입어 일본에 이어 제2의 수출시장으로 부상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은 9억8천700만 달러로 10.0% 감소했다.

농식품 수출은 지난해 초 수출 호조세를 보이며 기대감을 모았지만, 같은 해 3월 본격화한 사드 배치에 반발한 중국의 한류콘텐츠 방영 금지, 한국 식품 불매 운동 등 보복 조치 여파로 수출 증가세가 꺾였다.

이에 사상 최대 실적에도 정부가 정한 수출 목표치(70억 달러)는 올해도 달성하지 못했다.

농식품부는 새해 수출시장 집중 해소를 위해 시장 다변화, 현지 진출 대형유통채널과 중소농식품기업 매칭 및 테마 마케팅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