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글로벌 기업들의 미래 기술 전시장 'CES 2018'에서 차세대 친환경 기술을 집약한 수소연료전지 전기차를 공개했다.
현대차는 8일 오후 3시(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호텔에서 프레스 콘퍼런스를 열고 차세대 수소전기차 '넥쏘(NEXO)'를 선보였다. 넥쏘는 지난해 8월 국내에서 먼저 소개됐지만, 상세 제원이나 모델명은 이번 CES를 통해 처음 소개됐다.
이기상 현대차 환경기술센터장(전무)은 CES 콘퍼런스 현장에서 넥쏘를 "독자적 수소연료전지 기술이 탑재된 현대차 최초의 수소전기전용차이자, '아이오닉' 등을 통해 쌓아온 우수한 전기동력부품 기술력을 집대성한 '기술적 플래그십(대표·주력)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넥쏘는 차세대 동력인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기반으로, '레벨2' 수준(미국 자동차공학회 기준)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ADAS(운전자 보조 시스템)까지 장착했으며. 고속도로 주행 보조 시스템(HDA)은 물론, 차선 변경 시 뒤·옆 상황을 운전자가 볼 수 있는 '후측방 모니터', '차로 유지 보조 시스템'(LFA),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시스템'(RSPA) 등 첨단 안전·편의시설도 탑재됐다.
LFA는 시속 0~150㎞ 속도에서 차로 중앙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며, RSPA는 운전자가 하차한 상태에서도 주차·출차를 자동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넥쏘는 또 수소탱크에 따른 수소전기차의 적재·실내 공간 한계를 넘기 위해 세계 최초로 일원화된 3개의 탱크 시스템을 적용했다.
이에 따라 동급 내연기관 차량과 비슷한 수준의 839ℓ(미국 자동차공학회 기준)의 적재공간을 확보했다.
넥쏘의 친환경 파워트레인(동력전달체계)은 수소 이용률 향상과 부품 고효율화로 세계 최고 수준의 시스템 효율(60%)을 달성했다.
5분 이내 짧은 충전으로 세계 최고 수준인 '590㎞ 이상'(인증 전)의 항속거리를 구현했다는 게 현대차의 설명으로, 이는 투싼 수소전기차보다 약 40%나 늘어난 것이다.
실제 국내 인증 과정에서는 주행거리가 600㎞를 넘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넥쏘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영하 30℃ 저온에서도 시동이 걸릴 뿐 아니라, 내구성을 크게 키운 막전극 촉매 등을 사용해 내연기관과 맞먹는 '10년 16만㎞'의 내구성도 갖췄다.
더구나 넥쏘는 연료로 공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성능 필터를 사용, PM2.5 이하 초미세먼지를 99.9% 걸러 배출출하는 '공기 청정' 기능까지 갖췄다.
현대차는 넥쏘의 디자인에도 공을 들였다. 현대디자인센터장 루크 동커볼케 부사장은 "일반적 차량 디자인 과정에서 벗어나 하나부터 열까지 새로 디자인했다"며 "수소전기차에 걸맞은 차별화된 미래적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