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삼성](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27768/image.jpg?w=560)
삼성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후 강화된 보호무역에 대응하기 위해 작년 현지 정치권 등을 대상으로 한 로비 활동에 350만 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업계와 미국 정치자금 추적·조사 전문 민간단체인 책임정치센터(CRP) 등에 따르면 삼성은 지난해 삼성전자(341만 달러)와 삼성물산(9만 달러)의 현지 법인과 로펌 등을 통해 총 350만 달러의 로비자금을 지출했다. 이는 전년의 164만 달러의 2배 이상에 달하는 것이며, 역대 최고치다.
지난해 삼성이 당국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로비자금 지출의 목적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한·미 FTA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과 관련한 '무역(Trade)' 관련 사안으로, 전체 110건 가운데 18건이었다.
지난해 미국 내 전자 업종에서 가장 많은 로비자금을 지출한 곳은 오라클로, 1천238만5천 달러를 신고하며 유일하게 1천만 달러를 넘겼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MS)(850만 달러)와 퀄컴(826만 달러), 애플(707만 달러),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ESA)(676만 달러), IBM(531만 달러), 소비자기술협회(CTA)(505만 달러), 휴렛팩커드(HP)(498만 달러), 지멘스(395만 달러), 인텔(373만 달러) 등이 '톱 10' 리스트에 포함됐다.
삼성전자는 11위에 올라 외국 업체로는 독일 지멘스 다음으로 로비 자금을 많이 쓴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미국 상원에 제출된 무역 관련 로비 보고서는 총 1천22건으로, 전년보다 10.4%나 증가했다"면서 "삼성도 과거에는 주로 특허·상표권·지적재산권 관련한 로비가 다수를 차지했으나 작년에는 무역 관련 사안이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로비가 합법적이고 당연한 활동으로 여겨지는 미국에서 삼성이 치열한 '무역 전쟁'을 치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통계"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