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조선 빅3, 릴레이 수주 …'골든 위크‘ 달성

조선

극심한 일감부족에 시달려온 조선업계가 연초 잇달아 수주 실적을 올리면서 긴 불황에서 벗어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5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최근 유럽 선주사로부터 LNG(액화천연가스)선 2척을 수주했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수주 건을 포함해 일주일새 총 8척, 약 8억 달러 규모의 선박 수주에 성공했다. 지난달 27일과 28일에는 LPG(액화석유가스)선 2척과 VLCC(초대형 유조선) 2척을 각각 수주했고 이달 1일에는 VLGC(초대형 가스운반선) 2척의 건조 일감을 따낸 바 있다.

특히 비수기로 분류되는 지난 1월에는 총 15척, 10억 달러 규모를 수주해 4년 만에 최대 실적을 내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이 올해 들어 확보한 일감은 모두 29척, 20억 달러 규모이며 선종별로 구분하면 가스선 11척(LNG선 3척·LPG선 8척), 유조선 10척, 컨테이너선 6척, VLOC(초대형 광탄운반선) 2척 등이다.

삼성중공업도 최근 해외 LNG 선사로부터 18만㎥급 LNG선 1척(옵션 1척 포함)을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계약을 포함해 올해에만 컨테이너선 8척, LNG선 1척, 유조선 2척 등 총 12척, 10억3천만 달러 이상의 수주 실적을 거뒀다.

이에 앞서 대우조선해양도 지난주에만 모두 8억 달러 상당의 선박 건조 일감을 따내며 '골든위크'를 달성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달 27, 28일 이틀에 걸쳐 LNG운반선 2척과 VLCC 3척을 수주한 데 이어 이달 2일 VLCC 2척 수주에도 성공했다.올해 들어 지금까지 수주 실적도 LNG운반선 4척, VLCC 5척, 특수선 1척 등 모두 10척, 약 12억달러 상당이다. 2개월 만에 작년 전체 수주 실적(30억달러)의 40% 달성한 셈이다.

조선업계는 업황 회복에 발맞춰 부가가치가 높은 LNG선 등 가스선 분야에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다.

가스선은 미국의 적극적인 에너지 수출 기조와 중국의 친환경 에너지 소비정책에 따른 LNG 및 LPG의 물동량 증가로 견조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에서 올해 모잠비크를 중심으로 예정된 신규 LNG 플랜트에서만 약 45척의 LNG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어 향후 LNG선의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