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에 넣고 다니는 돈이 3년 전보다 3분의 1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가계의 '거래용 현금'(지폐) 보유액은 평균 7만8천원으로 2015년의 11만6천원보다 3만8천원(33%) 줄었다.
이는 설문 당시 응답자가 지갑이나 주머니에 소지한 현금이 얼마인지를 조사한 결과로, 물건을 사거나 경조사비 등을 낼 목적으로 들고 다니는 현금 보유액이 크게 줄었음을 의미한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의 거래용 보유액이 5만4천원으로 가장 적었고, 30대(6만7천원), 60대 이상(6만7천원), 40대(9만1천원), 50대(10만5천원) 순으로 현금 소지액이 늘었다.
현금이 가계의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1%로 신용·체크카드(52.0%)보다 크게 적었다. 3년 전 조사에서는 현금(38.8%)과 신용·체크카드(37.4%) 비중이 비슷했는데, 카드 사용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용도별 현금지출액을 보면 상품 및 서비스 구입이 61.8%이었고, 사적 이전지출·경조금 등 개인 간 거래가 37.6%를 차지했다.
현금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장소별 비중은 전통시장(40.2%), 슈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비상시를 대비해 집이나 사무실 등에 보유한 '예비용 현금'은 조사대상 가계의 23.3%가 보유한다고 응답한 가운데, 보유 가계당 평균 규모는 54만3천원으로 집계됐다. 2015년 조사 때는 조사대상 27.0%가 평균 69만3천만원을 가졌다고 응답, 예비용 현금도 3년 새 22%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 예비용 현금 보유액을 보면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계는 평균 20만5천원, 월 소득 500만원 이상 가계는 평균 78만9천원이었다.
5만원권 사용 현황을 보면 설문대상 가계의 89.2%가 최근 1년간 5만원권을 사용했고, 월평균 4.6회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금 없는 사회가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절반에 가까운 48.7%가 '낮거나 없다'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절반이 넘는 51.3%가 '중장기적으로 있다'(35.4%) 또는 '단기간 내 있다'(15.9%)고 답했다.
한편 기업은 75.8%가 100만원 미만의 현금을 보유 중이라고 응답해 2015년 조사 때 비중(76.6%)과 큰 변동이 없었다.
한은 관계자는 "설문조사 특성상 가계나 기업이 보유현금 정보를 실제보다 줄여 응답했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현금 보유액을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3년간 현금 보유 관련 사회·경제적 트렌드 변화를 추정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