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우리사회의 통합·신뢰·활력·경청·희망 정도에 대해 10점 만점에 5점도 주지 않는 등 사회를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갈등이 심하다고 인식하는 국민도 10명 중 8명이 넘었다.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펴낸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Ⅴ)'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에게 한국 사회의 사회통합 수준을 평가하도록 한 결과, 평균 점수가 4.17점(10점 만점)에 그쳤다.
이는 보사연이 지난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 성인 3천8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
세대별로 구분해보면, 1954∼1963년 출생한 베이비붐세대(3.95점)가 사회통합 수준을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했고, 1990년 이후 출생자(4.30점)가 가장 양호하게 평가했다. 사회가 '차별과 소외가 심한 사회(0점)'에 가까운지 '배려와 포용의 사회(10점)에 가까운지 11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평균 점수는 4.53점이었다.
'서로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사회(0점)'에 가까운지, '서로 믿고 살아가는 사회(10점)'에 가까운지를 평가했을 때는 4.48점이 나왔다.
'활력이 있고 희망찬 사회', '경제적 희망,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는 사회',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회' 여부에 대한 평가에서도 점수는 각각 4.80점, 4.51점, 4.57점에 그쳤다.
사회에 대한 부정적 평가 경향은 젊은 세대로 올수록 심했다. 민주화 이후 세대인 1974∼1989년생 집단은 특히 '포용사회', '역동사회'라는 부분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고, 1990년 이후 출생자는 '신뢰사회', '희망사회'라는 인식에 부정적이었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갈등수준이 '심하다'고 평가하는 의견은 80.0%에 달했다. '매우 심하다'는 7.2%, '대체로 심하다'는 72.8%였다. 갈등 유형 중에서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은 진보와 보수 간의 이념 갈등으로 '심하다'는 응답이 87.0%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79.0%),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81.61%),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75.1%),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갈등(71.3%) 등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한 경제적 갈등들에 대해서도 80%에 가까운 응답자가 '심하다'고 평가했다.
그밖에 개발주의자와 환경보호주의자 간의 갈등(64.0%), 지역 간의 갈등(61.4%),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세대갈등(51.7%), 다문화 갈등(50.4%), 주택 소유자와 비소유자 간의 갈등(49.57%) 등으로 상대적인 심각성 인식이 낮았다.
여성과 남성 간의 갈등(52.3%)도 비슷했으나, 20대 이하 집단에서는 '남녀갈등이 매우 심하다'는 응답이 21.72%로 유독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