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판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2조2천억 달러(약 2천70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재경일보=함선영 기자] 미국민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지급된 현금의 주 사용처가 청구서 결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미 정부는 코로나19의 여파로 경제가 어려워지자 지난 3월 2조2천억달러(약 2천700조원) 규모의 경기 부양 패키지 법안을 마련하면서 개인과 가족에 현금을 지급했다. 연소득 7만5천달러(약 9천200만원) 이하 성인에게 1천200달러(약 147만원)짜리 수표를 보내주는 방식이다.
26일 미국 경제전문 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여론조사업체 유고브(YouGov)의 설문결과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30%는 정부 지원 현금을 휴대전화, 전기·가스·수도 요금, 임대료 등 각종 청구서 결제에 사용했다고 답했다.
이어 저축(14%), 생필품 구입(10%) 등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유고브는 "미국민들이 미래가 얼마나 엄혹하게 될지 잘 인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경제학자들이 앞서 수행한 연구 결과도 유고브의 이번 설문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
1천6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에서 상당수가 정부 지원 현금을 음식과 비내구재 구입 등에 지출하거나 임대료를 내고 청구서를 결제하는 데 썼다.
한편 미 CNBC 방송은 데이터 처리 회사인 인베스트넷 요들리(이하 요들리)를 인용해 거의 모든 소득 계층에서 코로나19 현금 지급액 용도 중 상위권에 주식 거래가 포진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