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K-드론, K-물류의 비전으로 부상… 규모·기술력 키우기는 과제

정부가 급증하는 물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활물류 발전방안을 24일 발표했다. 정부는 이날 발표에서 3기 신도시, 스마트 시티 등을 첨단 물류기술이 적용된 'K-물류 시범도시'로 조성하는 내용을 넣었다.

◆ 빌딩 숲 속에서 드론으로 치킨 배달

시범도시 내용에서 드론은 배송 수단의 하나로 언급된다. 정부는 시범도시 조성 내용에 드론 배송과 함께 로봇배송, 지하 물류망 등을 언급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세종시 호수공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한 비대면 배송 사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드론 배송에 대한 실증 행사를 가졌다.

이번 실증은 다목적용 드론 5대가 투입돼, 전용 앱을 이용해 주문한 치킨과 햄버거 등 음식이 배달되는 과정을 선보였다.

이 가운데 3대의 드론은 세종호수 공원에서 2.5㎞가량 떨어진 세종시청에서 출발해 금강을 건너 음식을 날랐다. 나머지 2대의 드론은 호수 공원으로부터 1.5㎞ 거리에 있는 나성동 상업지구 고층빌딩 숲을 통과해 음식을 배달했다

음식 배달에 걸린 시간은 평균 10분을 넘지 않았다고 국토부는 전했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을 통해 실제 도심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한 중·장거리 드론 배달 서비스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또 이번 행사에서는 다수 드론의 자동 이착륙과 경로 비행, 드론 배달 전용 앱을 이용한 주문과 배송확인 등 적용 가능한 기술도 함께 실증했다.

정용식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드론 배송은 탑재한 물품의 무게 제한, 악천후 등 기후제약 등으로 인해 정부와 업계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들이 많다"며 "실생활 속 드론을 활용한 산업이 이른 시일 내에 정착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드론 물류
국토교통부 제공

◆ K-드론, 주변국 대비 규모 및 기술력은 미흡

그럼에도 국내 드론 산업은 주변국 대비 규모와 기술력이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4일 "한국 드론업계가 영세성·기술력 격차로 외국업체에 국내시장 점령 위기에 있다"며 "진입규제 장벽을 걷고 핵심기술 확보에 집중해야 세계시장에서 생존할수 있다"고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드론 업체의 51.9%가 매출규모 10억원 미만 영세 규모였다. 전세계 드론관련 특허 중 한국의 비중은 7%로 미국 28% 등 주요국보다 낮고, 핵심부품 기술력 또한 세계 최고수준에 미치지 못하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전경련은 한국이 드론운영 관련 규제 수준을 주요국과 유사하게 정비했지만, 지난 2017년 공공조달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에 드론을 지정하는 등 여전히 드론산업의 중소기업 보호에 멈춰있다고 지적했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국내용 보호정책'보다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을 '실력'에 지원해야 한다"며 "중소기업 보호위주의 정책이 오히려 드론산업의 중소·중견·대기업 시너지와 경쟁력을 막을 수 있어, LED 실패가 되풀이 될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 주요 기술의 R&D는 지속적으로 투자하면서, 중소기업 레벨업을 위한 마케팅 지원과 함께 공공에서 부가가치 높은 임무수행용 드론 수요를 선도해 새로운 핵심기술 개발을 자극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드론 배송
국토교통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