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에 이어 지방도 전세난…지방·광역시 집값 상승률 8년만 최대

전세 품귀로 빚어진 전세난과 비규제지역에 몰린 투자 수요 등 여파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집값이 8년 만에 역대 최고 상승을 기록했다.

서울 외곽과 수도권에서는 전세난에 지친 세입자들이 중저가 주택 매수에 나서면서 집값이 오르고 있다. 이에 더해 김포·부산 등 비규제지역에는 투자수요가 몰리며 집값이 단기간에 급등했다.

▲전국 아파트값 4개월 만에 상승률 최고…'비규제' 김포 2주간 4% 급등

한국감정원은 11월 둘째 주(9일 기준) 전국의 주간 아파트값이 0.21% 상승해 지난주(0.17%)보다 오름폭이 커졌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주 상승률은 올해 6·17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넷째 주(0.22%) 이후 4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최근 서울과 수도권 전셋값이 억 단위로 뛰면서 전세 수요가 중저가 주택 매수로 돌아서 집값을 밀어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방에서는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실수요 및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주요 지역,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매맷값이 올랐다"고 덧붙였다.

서울의 아파트값은 이번 주 0.02%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 10주 연속으로 0.01% 올랐던 것에서 상승 폭을 소폭 키운 것이다.

▲중저가 아파트 많은 서울 외곽 상승세 커져

서울에서는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지난주 0.08% 상승으로 서울에서 가장 상승률이 높았던 중랑구는 이번 주 0.04%로 강북구(0.03%→0.04%)와 함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광진구(0.01%→0.03%)와 강서구(0.02%→0.03%), 관악·노원구(0.03%→0.03%) 등 4곳이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강남 3구는 전반적으로 매물이 쌓이면서 고가 단지 위주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일부 중소형 위주로 가격이 상승하며 강남·서초·송파구 모두 보합(0.00%)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15%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도는 지난주와 같이 0.23% 상승했으나 인천은 지난주 0.15% 상승에서 이번 주 0.16% 상승으로 오름폭을 키웠다.

6·17 대책에서 비규제지역으로 남은 김포시는 아파트값이 지난주 1.94% 오른 데 이어 이번 주 1.91% 상승하면서 2주 만에 무려 4% 가깝게 폭등했다.

김포 A 공인 관계자는 "서울 전세난에 쫓긴 수요가 아직 상대적으로 저렴한 김포에 아예 집을 사러 내려오고 있다. 지하철이 닿는 단지를 중심으로 한 달 새 1억∼1억5천만원씩 뛰었고, 이제는 집주인들이 물건을 거둬들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아파트

▲지방·5대광역시 집값 역대 최고로 올라…부산 수영구 1.13%↑

지방의 집값 상승이 확대되고 있다.

지방 아파트값은 이번 주 0.27% 올라 한국감정원이 이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2년 6월 이후 8년 4개월 만에 최고 상승을 기록했다. 지방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을 말한다.

수도권인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의 아파트값도 지난주 0.29% 오른 데 이어 이번주 0.39% 상승하며 역대 최고 상승을 기록했다.

5대 광역시 중 부산은 이번 주 0.56% 올라 역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 상승을 기록했다.

부산은 작년 11월 모든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면서 수도권보다 대출 청약, 세제 등에서 느슨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다.

부산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달 이후 이번 주까지 6주 동안 0.12%→0.18%→0.23%→0.30%→0.37%→0.56%로 매주 상승 폭을 키우는 중이다.

부산에서는 수영구(0.61%→1.13%)가 전주 대비 2배 가까이 상승률이 높아지며 2주간 2% 가깝게 올랐고, 해운대구(0.84%→1.09%), 연제구(0.59%→0.88%), 남구(0.52%→0.81%), 부산진구(0.43%→0.81%), 동래구(0.50%→0.79%) 등 대부분 지역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부산 수영구 남천동의 재건축 추진 아파트인 삼익비치 전용면적 131.27㎡는 지난달 29일 20억9천만원(5층)에 신고가로 매매됐다. 이는 같은 면적 아파트가 9월 17억3천500만원(7층), 올해 1월 11억5천만원(4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오른 것이다.

이 아파트 73.92㎡는 7월 7일 매맷값이 11억원(5층)에서 지난달 24일에는 13억5천만원(7층)으로 뛰었는데, 해당 면적은 연초 7억6천만∼7억9천200만원에 매매됐다.

대구 수성구는 투기과열지구임에도 지난주 0.69% 상승에 이어 이번 주 1.11% 오르며 상승 폭이 눈에 띄게 커졌다.

수성구 범어동 범어쌍용예가 전용 84.98㎡는 연초 7억3천만원(9층)에 매매됐던 것이 8월 8억2천만원(20층), 9월 8억4천만원(10층)까지 오른 뒤 현재 시세는 10억5천만원에 육박한다.

대전 유성구(0.76%→0.67%)나 울산 남구(0.48%→0.53%) 등 지방 광역시의 인기 지역 집값 상승률도 이번 주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8개도 아파트값 상승률 역시 이번 주 0.16%를 기록해 2013년 10월 둘째 주(0.16%) 이후 7년여만에 최고로 올랐다.

전국에서 전주보다 상승률이 낮아진 곳은 충남(0.23%→0.19%)과 강원(0.12%→0.11%), 대전(0.41%→0.37%) 세 곳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