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디지털 대전환 속도내고 6G 시대 대비한다

정부는 디지털 대전환에 속도를 내기 위해 디지털 뉴딜 사업을 올해도 이어가고 6세대(6G) 시대를 대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2021년도 업무계획'을 통해 ▲디지털 뉴딜로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 미래를 개척하는 과학기술 혁신 등을 내세웠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디지털 뉴딜 사업에 2025년까지 총 58조2천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9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데이터댐 사업도 강화한다. 이 사업은 민간에 공공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16개 빅데이터 플랫폼과 180개 센터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150종을 확충한다.

중소·벤처기업이 AI·데이터·클라우드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3천280여 개 기업에 바우처를 제공한다.

AI 연산에 최적화된 신개념 반도체(PIM)와 차세대 AI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전국 어디서나 5G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국 85개 시와 주요 행정동, 지하철·KTX·SRT 등에 5G망을 구축한다.

5G 다음 단계인 6G와 양자 정보통신 등 핵심 기술 개발도 시작한다. 디지털 뉴딜 가속화를 위해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데이터 콘트롤타워로 개편한다. 개편 후에는 국무총리가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업무보고
과기정통부 제공

◆ 우주 등 과학기술로 미래 대비하고 코로나 종식을 위해 팔 걷는다

과기정통부는 탄소중립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은 올해 3월께 수립하고 우주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

2022년까지 2조5천200억원을 투자해 연구자 주도의 기초연구를 2배 확대하고 AI·SW(소프트웨어) 핵심 인재도 양성한다. 올해에는 1만6천 명을, 2025년까지 총 10만 명 인재를 키운다.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공공와이파이 구축과 디지털 역량교육도 강화한다.

과기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조기 종식을 위해 3분 만에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신속 진단키트도 올해 3월까지 개발하고 국산 코로나19 치료제를 상반기까지 의료 현장에 적용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 혁신으로 올해를 회복, 포용, 도약의 해로 만들 것"이라며 "이를 위해 코로나 조기 극복,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과학기술 혁신과 포용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들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