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산업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으면서 관련 주식 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항공우주(KAI) 등 우주 관련 종목 7개는 연초부터 지난 10일까지 평균 71.85% 급등했다.
KAI 외 6개 종목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쎄트렉아이,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AP위성, 인텔리안테크다.
이중 위성 시스템 개발업체인 쎄트렉아이가 134.69%로 가장 많이 올랐고 KAI(53.49%), 한화에어로스페이스(51.93%), LIG넥스원(41.15%) 등 대기업들도 50% 안팎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봉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에서도 기업들의 우주 사업 행보가 빨라지는 가운데 올해 차세대 중형 위성 발사 등으로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이 연중 지속할 것"이라며 "다양한 우주·항공 관련 ETF 상장, 관련 종목의 수급 여건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 500조원 우주 산업, 기업들 뛰어들다
우주 산업은 아직 국내에선 생소한 부문이다. 그럼에도 우주 시장은 KAI 추산 기준 500조원으로 거대한 시장이다.
국내 대기업 중 우주 산업 진출을 적극 꾀하는 곳은 한화다. 김승연 한화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임직원들에게 신사업에서 기회를 선점해달라고 주문하면서 그중 하나로 우주를 언급했다.
한화그룹의 항공·방산 부문 계열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인공위성 전문 기업 '쎄트렉아이'의 지분을 지난 달 인수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인수에 대해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를 맞아 미래 성장이 기대되는 우주 위성 산업 관련 핵심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에 투자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회사와 시너지를 통한 위성 개발기술 역량을 확보해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한글과컴퓨터그룹 우주·드론 전문 계열사인 한컴인스페이스는 특히 항공우주 지상국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시험용 달 궤도선 프로젝트(KPLO)의 지상국을 개발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는 드론 무인 자동화 운영 시스템 '드론셋(DroneSAT)'도 개발했다.
최근에는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국내 최초로 성 정보 활용 대중화를 위해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한 지상국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한컴인스페이스 최명진 대표는 "이번에 개발하는 기술은 경제적인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활용할 수 있어 위성정보 활용의 대중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