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스타필드, 롯데몰같은 복합쇼핑몰 이용 경험이 있는 500명에게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복합쇼핑몰 월 2회 의무휴업' 제도에 대해 물은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이 제도에 대해 응답자들의 절반 이상인 54.2%가 '의무휴업 반대' 의견을 내세웠다. 이는 '찬성(35.4%)'보다 높았다.
복합쇼핑몰 의무휴업이 실제 도입될 경우 의무휴업 당일 대체 계획에 대한 질문에는 ▲대형마트(34.6%) ▲백화점·아울렛(28.2%) 방문 등으로 대체하겠다는 응답이 62.8%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전통시장(12.0%) ▲인근 상가(9.0%) ▲복합쇼핑몰 영업일 재방문(6.0%) ▲온라인몰(4.8%) ▲기타(3.0%) ▲편의점·동네슈퍼(2.4%) 순이었다.

복합쇼핑몰을 방문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의류 등 쇼핑(34.0%)'과 '외식 및 문화·오락·여가(26.4%)'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필품 구매가 주목적인 전통시장과 달리 복합쇼핑몰은 쇼핑, 엔터테인먼트, 식음료, 휴식 등을 복합적으로 누리는 종합 문화 공간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전통시장을 비롯한 골목상권이 복합쇼핑몰과 대체 또는 경쟁 관계에 있다기보다는, 소비자들에게 각기 다른 특징과 목적성을 가진 별개의 시설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복합쇼핑몰 주말 방문 비중이 가장 높은 가운데, 월 2회 공휴일 의무휴업 규제를 도입할 경우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불편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복합쇼핑몰 의무휴업과 같은 규제로 얻게 될 실질적인 전통상권의 반사이익과 소비자 효용에 대해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특정 유통업체를 규제하는 방향보다는 중소상공인의 경쟁력을 높이고 유통업계가 상생할 수 있는 정책을 고안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