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외국인 직접투자 2년 연속 감소…신산업으로 투자 유도

지난해 외국인 직접투자가 2년 연속 줄었으며 우리 기업의 해외 직접 투자도 두 자릿수 감소세를 기록했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디지털과 그린뉴딜 등 신산업 분야의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자 상반기 중 첨단 외국인 투자유치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외국인 직접투자는 207억5천만달러로 2019년(13.3%↓)에 이어 전년 대비 11.1% 감소했다. 한국의 해외 직접투자도 지난해 549억1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4.6% 줄었다.

지난해 외국인 자금 유출입의 경우, 주식자금은 차익실현 등으로 24조4천억 원이 순유출되었으며, 채권자금에서 24조7천억원이 순유입됐다.

주식자금의 순유출 규모는 2008년 이래 최대다. 채권자금 순유입은 2007년 이후 최대 규모다.

정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대외분야 실물·금융 부문 동향점검 및 대응 방향을 확정했다.

정부는 최근 외국인 자금 유출입 상황과 외화 유동성이 대체로 안정적이지만 미 국채 금리 상승 등 불확실성 요인이 있다고 평가했다. 미 국채 금리 등 국제금융시장 여건 변화가 변동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라고 본 것이다.

다만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이탈을 초래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이런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단기투자자의 자금은 유출될 수 있으나 중앙은행·국부펀드 등 중장기 투자자는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투자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고,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은 물론, 동일 신용등급 국가보다 국채금리가 높아 급격한 이탈 가능성이 작다고 평가다.

홍남기

홍남기 부총리는 “정부는 한국이 강점을 지닌 디지털·그린 등 첨단산업 분야 외국인투자 유치 강화를 위해 상반기 중 첨단 외국인투자 유치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하는 차원에서 상반기 중 정부 차원의 로드맵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올해 현금 지원 예산을 600억원으로 50억원 늘리고 입지 지원과 조세 감면 등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첨단투자지구를 지정해 부담금을 감면하고 임대료를 지원해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 솔루션 등 디지털 뉴딜과 친환경·수소 등 그린뉴딜 등 신산업 분야에서 외국인 투자 유치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이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핵심 프로젝트에 대해선 설명회도 늘리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