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모바일로 중심 이동'…홈쇼핑, TV에서 스마트폰으로

홈쇼핑의 주 무대가 TV가 아닌 온라인과 모바일로 옮겨지고 있다.

17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국내 홈쇼핑방송 환경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TV홈쇼핑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수단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비중은 2017년 68.9%에서 2019년 71.4%로 높아졌다.

T커머스로 불리는 데이터홈쇼핑의 전체 매출 규모는 2015년 1천729억원에서 2019년 8천682억원으로 급성장했다. 데이터홈쇼핑은 일반 방송채널을 활용한 TV홈쇼핑과 달리 디지털TV나 셋톱박스 등을 활용해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전통적 홈쇼핑 영역인 TV 비중의 감소를 불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국내 홈쇼핑방송 환경 분석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공

2019년 기준 TV 채널의 비중이 전체의 49%였고, 디지털 채널은 47.9%였으나 지난해 들어 두 채널이 자리를 바꾼 것이다.

이에 따라 홈쇼핑의 방송사업매출과 기타사업매출의 비중 차이도 점차 줄어들었다.

2015년 각각 66%, 34%로 2배 가까이 차이 나던 방송사업매출과 기타사업매출은 2019년에는 57.7%와 42.3%로 격차가 대폭 감소했다.

매출 비중도 바뀌었다. 지난해 1분기 국내 홈쇼핑의 전체 거래액 중 디지털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49%로, 47.9%의 TV 채널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홈쇼핑이 모바일을 중심으로 변해가는 쇼핑 환경에 대응해 모바일 프로모션을 확대하고, 모바일 판매를 위한 전용 홈쇼핑 방송 제작을 늘린 결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