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샘은 지난 달 23일 올 해 봄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를 발표하며 주제를 '모든 것이 가능한 집의 재발견 올웨이즈 홈'이라고 정했다.
발표회 주제 '올웨이즈 홈'은 변화하는 시대상을 반영한 중의적 표현이다. '항상 집'이라는 뜻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했고, 합성어인 'All+ways Home'은 모든 길은 집으로라는 뜻으로 집이 생활의 중심이 되고 있는 현상을 담았다.
한샘은 집을 뜻하는 영어 House의 앞글자를 따서 ▲홈루덴스(Home-Ludens) ▲오픈키친(Open Kitchen) ▲언택트 라이프(Untact Life) ▲스마트홈(Smart-Home) ▲맞춤수납(Efficient Storage)으로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를 정했다.
한샘은 '홈루덴스(Home-Ludens)족'이라는 신조어를 통해 집을 다양한 취미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변화를 시도했다.
집에서 직접 요리하는 홈쿡'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고 발표회에서 가족과 함께 요리하고 식사하는 넓은 부엌과 다이닝 공간을 구현했다.
비대면으로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을 하는 '언택트 라이프'가 활성화되면서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 일과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했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과 가구, 가전이 조화를 이루는 스마트 홈도 선보였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한 맞춤 수납 솔루션도 제공했다.
한샘은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 자녀가 있는 집 99㎡ ▲중등 자녀가 있는 집 120㎡ 2가지 모델하우스를 선보였다.

초등 자녀가 있는 집 99㎡은 한샘리하우스 스타일패키지 '모던베이지 내추럴'로 꾸몄다. 장식적인 요소를 최소화한 모던스타일의 가구를 활용하면서 벽면에는 나무 색상 마감재 등 내추럴 인테리어 요소를 조합해 세련되면서도 따듯한 분위기로 만들었다.
중등 자녀가 있는 집 120㎡은 가족이 함께 대화를 나누고 요리와 식사를 즐기는 공간으로 꾸몄다. 거실에는 마주보고 앉을 수 있는 라운지형 소파를 배치했고, 대형 아일랜드 부엌을 배치해 함께 마주보고 요리할 수 있게 만들었다.
스타일패키지 '모던클래식 크림'으로 공간을 꾸몄다. 벽이나 방문에 프레임 형태의 장식패널을 덧댄 웨인스코팅(Wainscoting)을 활용했다. 또, 대리석 패턴 타일, 골드 색상의 손잡이 등 클래식 인테리어 요소를 활용해 우아한 공간으로 구성했다.
한샘은 발표회에 맞춰 리모델링을 위한 다양한 건자재 신제품도 선보였다.
벽장재로는 대리석, 타일 등 다양한 패턴을 프린팅해 시공하는 대형 벽판넬 '와이드 월플러스'와 '한샘 M보드'를 출시했다.
천연 대리석이나 타일의 질감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면서 시공 및 관리가 간편한 것이 장점이다.
욕실은 지난 달 출시한 프리미엄 바스바흐(BATHBACH)를 모델하우스에 처음으로 적용해 더욱 고급스러운 공간으로 꾸몄다. 중문은 접이식으로 열고 닫아 공간 활용도가 높은 폴딩 중문과 센서 자동인식 기능이 있는 자동 중문 등을 선보였다. 방문은 손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안전 도어를 출시했다.
창호는 합리적인 가격에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친환경 인증을 받은 신제품 '유로700NEW'를 출시했다. 마루는 기존 제품 대비 폭이 약 30mm 넓어 더욱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와이드 강마루를 출시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결합형 시공 제품 '이노 플로링(INNO flooring)'도 선보였다. 조명은 빛떨림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밝기와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신제품들을 출시했다.
한샘 디자인본부 김윤희 상무는 "맞벌이 부부의 증가, 스마트홈의 발전, 재택 근무 확대 등 사회 변화에 맞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것이 인테리어의 역할"이라며 "최근 급속도로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집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컨텐츠를 준비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