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대한민국 AI기술, 선진국보다 1.8년 뒤쳐저

연평균 43% 성장하는 AI산업
AI 100대 기업 중 한국기업 4곳에 불과
전경련 "한국, 데이터 활용 제약하는 법제도 정비 필요"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이 될 인공지능(AI) 기술 분야서 선진국보다 2년가까이 뒤쳐져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 지난해 데이터 3법을 개정했지만, 의료법 등 개별법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별도 동의가 필요하거나 이용이 제한돼 AI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AI 학습에 필수적인 데이터 활용을 제약하는 법을 정비하고, 핵심 인력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공지능
논문 수와 논문 편당 인용수·AI 고급인력 수 / 전경련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2일 발표한 '인공지능(AI) 분야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AI 기술 격차는 1.8년이다. 전경련이 이 수치가 수년째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허 수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 100대 기업 중 국내 연구기관은 삼성과 현대자동차, LG, 전자통신연구원 등 4곳에 불과했다. 미국의 11분의 1 수준이다.

또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석·박사 이상급 연구자 숫자도 미국의 3.9% 수준이었다.

한국의 AI 논문 수는 세계 9위지만 1위인 중국의 10분의 1 수준에 머물렀고, 질적 지표인 논문 편당 인용 수도 91개국 중 31위에 그쳤다.

이런 연유로 한국의 AI 경쟁력은 미국의 80.9% 수준에 머물러 있고, 1.8년의 기술격차가 수년째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AI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IT 강국인 한국의 경쟁력은 주요국 대비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AI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업종별로 데이터 활용을 차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AI 개념 구조·세계시장 전망 / 전경련 제공

AI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기계로 구현하는 과학기술로, 모바일 등을 통한 데이터 획득, 데이터 저장·가공, 학습을 통한 알고리즘 생성으로 최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AI 산업의 시장 규모와 성장률은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손색이 없다.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18년 735억달러에서 2025년 8천985억달러로 연평균 43.0%의 성장이 기대된다.

이는 차세대 먹거리로 꼽히는 로봇산업 성장률(18.5%)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