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비트코인 시세 6600만원대, 이더리움 300만원대...정부 "코인 투자자 보호 못해"

가상화폐 비트코인 시세는 22일 오후 10시 30분 기준 6600만원대다.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서 비트코인 시세는 6691만3000원으로 전일 보다 -338만7000원(-4.82%) 내렸다.

다른 거래소인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시세는 6695만1000원으로 전일보다 124만7000원(-1.83%) 떨어졌다.

비트코인 시세는 이날 오후 3시 37분 빗썸에서 6571만4000원, 업비트에서 6576만3000원인 것과 비교시 소폭 상승헤 6600만원대 회복이다.

가상화폐는 주식과 거래소 단위로 거래 가격이 매겨지기 때문에, 같은 종류의 가상화폐라도 거래소에 따라 가격에 다소 차이가 있다.

가상화폐 2021.04.22 밤10시
다음 캡처

같은 시간 업비트에서 가상화폐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313만8000원·+4.95%)은 전일보다 상승했다. 이더리움은 300만원대를 회복했다.

다른 주요 가상화폐(코인)의 경우 업비트에서 폴카닷(4만3440원·+1.47%), 라이트코인(34만0600원·+4.16%), 비트코인캐시(115만5000원·+0.26%), 체인링크(4만7420원·+2.89%)도 이더리움처럼 상승세다.

리플(1615원·-1.22%), 에이다(1495원·-1.64%), 도지코인(345원·-11.08%)은 전일 대비 내렸다.

◆ 은성수 위원장 국회 출석, 가상화폐 투자자 보호 개념 성립할수 없음 나타내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질의와 은성수 위원장의 답변이 나왔다. 이를 통해 정부가 가상화폐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수 있었다.

은성수 위원장은 가상화폐 투자 열풍과 관련한 정부 대책을 묻는 의원들의 질문에 "잘못된 길로 가면 어른들이 이야기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가상화폐 시장 과열에 따른 투자자 피해와 관련해선 "가상자산에 투자한 이들까지 정부에서 다 보호할 수는 없다"며 가상화폐는 내재가치가 없는 "인정할 수 없는 화폐"라고 규정했다.

기상화폐 투자자를 '투자자'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정부의 '투자자 보호'란 개념이 성립할 수 없다는 취지다.

가상화폐 거래 규모에 비해 관련 법이나 제도가 너무 허술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지만 정부가 개입할 시장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남우 국가보훈처 차장(오른쪽부터), 은성수 금융위원장,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2021.4.22

은성수 위원장은 "많은 사람이 투자하고 있다고 해서 관심을 갖고 보호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하루에 20%씩 급등하는 자산을 보호해줘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더 투자를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가상화폐 투자 위험성을 강조하며 거래소 폐쇄 가능성도 언급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저희가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로 취급 업소 등록을 받는데 현재까지 등록한 업체가 없다"며 "9월까지 등록이 안 되면 200여개의 가상화폐거래소가 다 폐쇄될 수 있기 때문에 투자하는 분들도 본인이 거래하는 거래소가 어떤 상황인지를 알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NH농협·신한·케이뱅크 등 은행들과 실명계좌를 트고 영업하는 거래소는 빗썸, 업비트, 코인원, 코빗 단 4곳뿐이라 가상화폐거래소들의 대거 폐업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은 "투자자 손실을 당국이 책임지란 이야기가 아니라, 투자자들이 코인 관련 내용을 알 수 있게끔 규정을 만들어 줄 수 있는지를 묻는 것"이라며 "당국이 엄청난 금액의 거래에 대해 너무도 손을 놓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김 의원의 지적에 대해 "하루 거래대금이 17조에 달하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실체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일관되게 말씀드리는 것은 이건 가상자산이라는 것이고 (이 시장에) 안 들어왔으면 좋겠다는 게 솔직한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다만 금융당국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방관할 것이냐 하는 부분에 대해 고민을 안 할 수는 없다"며 "다각적인 고민은 하고 있다"고 은성수 위원장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