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뉴욕증시 '자본이득세' 가능성에 급락 마감 "현실화되면 주식 매도행렬 예상"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22일(미 동부시간) 하락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1.41포인트(0.94%) 떨어진 33,815.9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8.44포인트(0.92%) 내린 4,134.98에,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131.80포인트(0.94%) 내린 13,818.41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 주요 증시 하락, 조 바이든 대통령 자본이득세 발언 영향

주요 지수는 오전까지만 해도 주요 기업들의 1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소폭 상승하거나 보합세를 보였다.

당일 발표된 고용지표는 긍정적이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는 팬데믹 이후 최소치임은 물론 시장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며 고용시장 회복 기대감을 자극했다.

주요 지수는 바이든 대통령이 다음주 고소득층에 대한 자본이득세를 큰 폭으로 올릴 것이라는 블룸버그통신의 보도가 나온 이후 급격히 하강곡선을 그렸다.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연 소득 100만달러 이상의 고소득자들에 대한 자본이득세율을 현행 20%에서 39.6%로 두 배 가까이 올리고, 한계소득세율도 기존 37%에서 39.6%로 올릴 계획이다.

삼성증권은 "지난밤 뉴욕증시는 고소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인상 소식이 전해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세로 마감했다"며 "장 초반, 경제지표 호조 소식을 발판으로 상승 반전을 시도했던 증시는 세금 인상 소식과 함께 낙폭을 다시금 확대했다"고 전했다.

뉴욕증시 뉴욕증권거래소 미국주식 해외주식
뉴욕증권거래소 제공

◆ 대형주 비롯 전 섹터 하락

시가총액 상위에 포진한 대형주들은 하락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각각 1.2%, 1.3% 내린 가운데 아마존과 알파벳, 그리고 페이스북이 1%대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테슬라는 3.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5.3%의 조정을 받았다.

주요 경기민감주와 경제활동 재개 수혜주들도 대부분 약세였다. 반면 실적 호조를 보인 통신회사 AT&T는 이날 4.2%, 소비자 신용정보 업체인 에퀴팩스는 14.9% 상승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 섹터가 하락한 가운데, 소재와 에너지, 그리고 IT 섹터가 상대적으로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반면 부동산과 헬스케어는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 전문가들 "자본이득세 현실화되면 주식 매도 행렬 예상"

전문가들은 자본이득세로 주식 매도 행렬이 나올 것으로 본다.

자본이득세 인상은 주식 투자자들의 매매 차익 중 상당 부분을 연방정부가 걷어간다는 의미여서 월스트리트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CNBC방송이 지적했다.

크레셋캐피털의 잭 앨빈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방송에 고소득층에 대한 자본이득세율이 2배가 되는 것이라고 지적한 뒤 "소득이 높은 장기 투자자들은 상당한 비용을 치를 수밖에 없다"며 "이 계획이 내년 법제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면 해당 투자자들이 올해 주식을 팔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삼성증권은 "금융시장 전반의 변동성이 최근 감소 중이고 이에 따라 증시 모멘텀도 다소 약해 보이는 상황"이라며 "유동성과 경기 여건은 여전히 긍정적인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 대비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지만 주식의 상대적 기대수익은 여전히 높다"고 삼성증권은 분석했다.

◆ 유럽증시 일제히 상승

유럽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는 0.97% 뛴 4,014.80으로 장을 마쳤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0.91% 오른 6,267.28로,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82% 오른 15,320.52로 각각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0.62% 상승한 6,938.24를 기록했다.

키움증권은 "유럽증시는 유럽중앙은행의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투자심리가 회복된 것에 힘입어 상승했다"며 "ECB(유럽중앙은행)이 금리 결정을 위해 회동할 예정이지만 별다른 정책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