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분기 역대 최대 실적 낸 카카오, 신규 서비스 강화한다

매출 1조2천580억원·영업익 1천575억원, 작년보다 45%·79% 늘어
여민수 공동대표 "신규서비스 강화해 중장기 성장동력 마련"

카카오 1분기 실적이 카카오톡과 신사업 성장에 힘입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카카오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2천580억원, 영업이익 1천575억원을 올렸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작년보다 각각 45%, 79% 증가한 것으로, 모두 역대 최대 기록이다.

◆ 신사업 부문 매출 89% 성장, 카카오톡 매출은 비수기에도 61% 증가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신사업 부문 매출(1천898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서비스는 1분기에 역대 최고 수준의 일평균 호출 수준을 기록했고, 가맹 택시 숫자도 2만1천대로 늘었다. 카카오페이 거래액도 1분기 22조8천억원으로 58% 성장했다.

주력 부문인 카카오톡 관련 사업인 톡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한 3천615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톡 광고 매출이 비수기임에도 59%나 성장했고, 선물하기 등 쇼핑 사업도 큰 폭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포털 부문(1천175억원) 등을 포함한 플랫폼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6천688억원을 기록했다.

유료 콘텐츠 매출이 웹툰·웹소설 등의 글로벌 거래액 증가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7%, 전년 동기 대비 80% 성장한 1천747억원을 기록했다.

지적재산(IP) 비즈니스 기타 부문 매출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영상 콘텐츠 매출 증가와 음반 유통 호조로 전 분기 대비 7%,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한 1천274억원이다.

게임 매출은 전 분기 대비 7%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1천303억원, 음악은 전 분기 대비 3% 감소,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1천56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그럼에도 영업이익률은 12.5%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여민수 공동대표는 "지금보다 영업이익률은 크게 개선될 여지가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올해는 성장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과감하고 유연하게 예산 집행이 이루어질 예정이고 영업이익 규모는 이런 전략적인 상황에 맞춰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신규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배재현 수석부사장은 컨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신규사업에 속하는 대부분의 공동체가 지속적인 영업이익을 창출하고 있거나 턴어라운드(실적 전환)에 매우 근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올해 카카오페이·모빌리티의 흑자 전환을 예상했다.

카카오 실적 추이 2021 1분기

◆ 카카오, 지갑·구독 서비스 강화해 성장동력 마련

카카오는 앞으로 주력 서비스인 카카오톡에 지갑·구독 등 신규 서비스를 강화해 중장기 성장 동력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지갑 서비스에 QR 코드로 무인점포를 비롯한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게 하고, '인물검색' 등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다.

카카오톡을 통한 콘텐츠 구독 서비스도 나온다. 여민수 공동대표는 "창작자는 누구나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발행할 수 있고, 이용자는 창작자의 채널과 친구를 맺어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콘텐츠를 구독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컨퍼런스콜을 통해 계열사 간 사업 시너지 강화를 위한 일부 개편 가능성을 시사했다.

여민수 공동대표는 "공동체 사업의 운영 방식이나 지배 구조에 대해서 여러 가지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