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4년 동안 수도권 아파트 청약 경쟁률과 당첨 가점이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은 당첨 가점이 최저 65점이어야 당첨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 됐다. 이처럼 내 집 마련의 문턱이 높아지면서 무주택자들의 시름은 더 깊어진 것으로 보인다.
청약 가점 65점은 4인 가족 기준 15년 이상 무주택자로 살아야 가능한 점수다.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 94.1대1…4년 만에 6배 껑충
11일 부동산114와 직방에 의뢰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1년간 94.1대 1을 기록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하고 1년간(2017.5∼2018.4)의 경쟁률(15.1대 1)과 비교하면 6배가 넘는다.
전국 아파트는 같은 기간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이 12.6대 1에서 24.6대 1로 2배 가까이 올랐다.
매년 평균 경쟁률이 꾸준히 상승한 가운데, 최근 1년간의 상승률이 가팔랐다.
경기와 인천의 경쟁률은 문 대통령 임기 1년 차에 각각 6.1대 1, 6.5대 1을 기록했다가 4년 차에 큰 폭으로 오르며 27.3대 1, 22.8대 1에 이르렀다.
5대 지방 광역시(부산·울산·대구·대전·광주) 중에서 부산의 청약 경쟁률 상승이 두드러졌다.
부산은 문 대통령의 임기 3년 차에 13.2대 1 수준에서 4년 차에 69.2대 1로 5배 넘게 상승했다.

▲분양가 상한제 등 영향에 청약 시장 과열 심화
지난해 하반기 새 임대차법 시행에 따른 전셋값 불안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등의 영향으로 청약 시장이 과열됐다.
이로 인해 분양 시장에서 청약 경쟁률과 당첨 가점이 큰 폭으로 올랐다.
작년 10∼12월 분양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위례자이더시티'(617.6대 1), 부산시 수영구 남천동 '힐스테이트남천역더퍼스트'(558.0대 1), 서울시 강동구 상일동 '고덕아르테스미소지움'(537.1대 1),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과천푸르지오오르투스'(534.9대 1)와 '과천르센토데시앙'(470.3대 1) 등에 청약 수요가 몰리며 경쟁률이 급등했다.
2017년 서울의 최저 당첨 가점 평균은 45.5점에서 올해 64.9점으로 올랐다. 같은 기간 경기는 36.3점에서 42.9점으로, 인천은 33.1점에서 46.8점으로 최저 당첨 가점이 올랐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새 아파트 선호와 주택공급 부족 우려감, 분양가 통제에 따른 시세차익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청약시장의 과열이 심화했다"면서 "청약 가점이 낮고 특별공급에서 배제되는 무주택자를 위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