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SK(주), 솔리드에너지에 400억원 투자…차세대 배터리 주목

회사측 "미래차 소재시장 게임체인저로 도약한다는 전략"

SK그룹의 투자전문 지주회사 SK㈜가 전기차 핵심 부품으로 주목받는 차세대 리튬메탈 배터리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관련 회사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SK㈜는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사인 솔리드에너지시스템에 400억원을 추가 투자했다고 11일 밝혔다. 2018년 300억원을 투자한 데 이어 두 번째다.

SK㈜는 앞서 2019년 글로벌 1위 동박 제조사인 왓슨에 이어 차세대 전력 반도체 등 전기차 소재 사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했다.

회사는 솔리드에너지 투자를 기반으로 차세대 배터리 소재 사업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솔리드에너지시스템 로고

리튬메탈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재로 사용되는 흑연 대비 에너지 용량이 10배 정도 크며, 높은 전류량을 송출하고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 부피와 무게는 크게 줄이고 주행 거리는 2배 이상 크게 늘릴 수 있어 주요 배터리 개발사와 완성차 기업들이 리튬메탈을 사용한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다만 리튬메탈은 충전시 리튬이 음극 표면에 쌓여 배터리 성능 저하와 분리막 훼손을 야기하는 일명 '덴드라이트'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솔리드에너지는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리튬메탈에 고체 형태의 폴리머코팅을 입히고 리튬의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하는 고농도의 전해질을 사용해 안전성 문제를 해결했다고 SK㈜는 전했다.

솔리드에너지는 이 같은 하이브리드 방식을 먼저 상용화시켜 리튬메탈 배터리 시장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전략이다.

회사는 핵심 배터리 기술을 추가 확보해 미래차 소재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김양택 SK㈜ 첨단소재 투자센터장은 "향후 배터리 양극재, 음극재 분야에서도 차세대 신소재를 선점해 글로벌 첨단소재 기업으로 입지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업계는 솔리드에너지의 미국 증시 상장 추진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회사는 솔리드에너지 상장 추진 시 지분 가치 또한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솔리드에너지시스템 개발한 리튬메탈 배터리의 시제품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