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LG,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1억 달러 이상 투자

LG AI연구원 "올해 하반기 연구성과 공개"
LG 외에도 네이버-서울대는 초대규모 AI 연구 협력

LG가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을 위해 3년간 1억달러 이상을 투자한다.

'초거대 AI'는 대용량 연산이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학습해 종합적이고 자율적으로 사고, 학습, 판단, 행동하는 인간의 뇌 구조를 닮은 AI이다.

초거대 AI는 언어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을 이해하고, 데이터 추론까지 가능하다.

LG의 AI 전담조직 LG AI연구원은 17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AI 토크 콘서트'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LG AI연구원은 초거대 AI 개발을 위해 1초에 9경5천700조회 연산 처리가 가능한 글로벌 탑3 수준의 AI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초거대 AI'는 올 하반기에 공개한다.

인간의 시냅스와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는 파라미터는 규모가 커질수록 AI 지능도 높아지는데, LG AI연구원이 개발하는 초거대 AI는 6천억개의 파라미터(매개변수)를 갖춘 것으로 현존 최고 수준보다 파라미터 규모가 3배 이상이다.

현재 개발 중인 초거대 AI는 언어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을 이해하고, 데이터 추론까지 가능하다고 LG는 설명했다.

LG AI연구원은 내년 상반기까지 조 단위 파라미터를 갖춘 초거대 AI도 개발할 예정이다.

LG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데이터 분석, 고객 상담 등 분야에 초거대 AI를 투입해 '상위 1% 인간 전문가' 수준의 역량을 갖춘 AI 기술을 현장에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초거대 AI를 활용해 고객 상담 챗봇·콜봇이 고객의 감정까지 분석할 수 있게 하고, 차세대 배터리, 고효율 발광 분야 신소재 발굴을 위해 논문·특허를 분석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할 예정이다.

LG 인공지능 AI. 연구소
LG 제공

LG AI연구원 배경훈 원장은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초거대 AI 연구를 위한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을 확보할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 연구 성과물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 네이버-서울대는 초대규모 인공지능(AI) 공동연구

LG 외에도 네이버와 서울대는 초대규모 AI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에 나선다.

양측은 GPT-3를 능가하는 대규모 한국어 언어모델을 개발하고, 언어·이미지·음성을 동시에 이해하는 AI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여기엔 양측의 AI 연구원 100여명이 참여하고 3년간 연구비와 인프라 지원비 등을 포함해 수백억원 규모의 투자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 양측은 지난 10일 '서울대-네이버 초대규모 AI 연구센터'를 설립해 AI 연구와 교육 협력을 강화할 계획 등을 담은 공동연구 협약을 맺었다.

최인혁 네이버 COO는 "네이버의 인프라와 데이터, 양측의 연구 역량이 합쳐진 공동 AI 연구센터를 통해 글로벌 경쟁자들에 맞서 초대규모 AI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장병탁 서울대 AI 연구원장은 "네이버의 우수한 인프라와 양측의 AI 인재들이 힘을 합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를 개발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