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가 우주 산업에 투자하는 이유는, 당장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도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가는 해당 산업에서 이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고 한화의 움직임도 이와 다르지 않다.
미국의 경우,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탐사 기업인 스페이스X 등은 ISL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데, ISL은 위성 통신 기술(Inter Satellite Links)을 말한다. 민간 우주 개발 부문에서 전 세계적으로 ISL 개발 전쟁이 뜨거운 상황이다.
이런 가운에 한화는 해당 산업과 관련, 100억원 투입 계획에 대해 지난 17일 알렸다. ISL 프로젝트 런칭과 관려해서 였고 한화의 우주 산업을 총괄하는 스페이스 허브(Space Hub)가 KAIST와 공동으로 우주연구센터를 설립했다는 내용이었다.
민간 기업과 대학이 함께 만든 우주 분야 연구센터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고 한화는 설명했다. 연구센터는 KAIST 연구부총장 직속으로 설립됐다.
단순한 산학 협력을 넘어선 실질적인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스페이스 허브와 KAIST의 첫 연구 프로젝트는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ISL(Inter Satellite Links, 위성 간 통신 기술) 개발이다. ISL은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필수 기술이다.
위성 간 데이터를 레이저로 주고 받는 게 핵심이다. 저궤도 위성은 기존의 정지궤도 위성과 달리, ISL 기술을 적용하면 여러 대의 위성이 레이저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고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 운항 중인 비행기와 배에서, 전기가 들어가지 않는 오지에서도 인터넷 공급이 가능해진다. 한화시스템이 추진하는 위성통신·에어모빌리티 사업에 곧바로 활용될 수 있다.
우주연구센터는 ISL 프로젝트와 더불어 민간 우주 개발과 위성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다양한 기술을 함께 연구한다. 발사체 기술, 위성 자세 제어, 관측 기술, 우주 에너지 기술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새로운 프로젝트에 필요한 인재 육성도 적극 나선다.
한편, 스페이스 허브는 지난 3월 출범했고 한화의 우주 사업 총괄 본부격이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와 쎄트렉아이 등이 참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