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테라헤르츠(㎔) 대역 무선통신 시연에 성공했다.
6G(6세대 이동통신) 상용화를 위해서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높은 경로 손실과 낮은 전력 효율 극복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삼성전자는 테라헤르츠 대역 무선통신 시연 성공을 알리며 이것이 현실로 다가왔다고 지난 16일 알렸다.
삼성전자는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 주립대(UCSB)와 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통신시스템 시연에 성공했다.
테라헤르츠 대역은 6G 주요 주파수 대역으로 활용될 것으로 알려진다. 이번 시연이 테라헤르츠 대역의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테라헤르츠 대역은 10㎓-10㎔ 사이의 주파수 범위다. 기존 5G에 비해 최대 50배 빠른 1Tbps(1초에 1조 비트를 전송하는 속도)를 목표로 하는 6G 통신의 후보 주파수 대역에 꼽히고 있다.
주파수 대역이 높아지면 넓은 통신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이 빨라지게 된다. 높은 주파수 대역은 경로 손실이 크고 전파 도달 거리가 짧다는 단점도 있다. 이 때문에 통신 시스템 내에 많은 안테나를 집적해야 하고 전파를 특정 방향으로 송·수신하는 고도의 빔포밍 기술과 더 세밀한 RFIC(무선주파수 집적회로) 회로 제작 등 기술적인 난제가 있다.
기존 테라헤르츠 대역의 시연은 계측 장비와 안테나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었지만, 삼성전자와 UCSB 연구진은 RFIC, 안테나, 베이스밴드 모뎀을 통합해 실시간 전송 시연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