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국내 암호자산 시장 시가총액을 50조원으로 추산하면서 "개인투자자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은은 최근 나타난 암호자산 가격 급상승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근거를 찾기 어려우며 금융시스템의 잠재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22일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암호자산 시장 동향과, 암호자산 시장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했다.
한은은 우선 암호자산 가격 급락이 국내 금융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로를 종합적으로 점검했을 때 현재로서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한은은 먼저 현재 금융기관이 암호자산 시장에 노출된 정도가 적다고 판단했다.
국내 금융기관의 암호자산 직접 매입이 금지돼 있고, 암호자산 관련 국내 상장기업에 내준 대출이 작년 말 3천억원 수준으로 크지 않기 때문이다.
암호자산 투자를 목적으로 한 금융기관 대출이 많이 늘어나거나 대출 연계 주식투자자금이 암호자산 시장으로 대거 옮겨가는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
한은은 국내 암호자산 시장 시가총액을 50조원으로 추산하면서 "개인투자자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암호자산과 연관이 있는 기업 주식의 시가총액은 3조7000억원으로 국내 상장주식(2655조원)의 0.1%에 불과했다.
한은은 "주식배당 등의 기초 현금흐름이 없고 유·무형의 편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최근 크게 달라진 점이 없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이후 암호자산 가격의 급상승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근거를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이어 "금융 불균형이 누적되는 상황에서 그 경제적 가치에 대한 엄격한 평가 없이 과도한 투기적 수요가 촉발될 경우, 암호자산시장이 금융시스템 내 잠재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정욱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50조원이 작다고는 할 수 없지만 현재 주식시장 시가총액이 3천조원에 가까운 것에 비해서는 작다는 의미"라며 "현재로서는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평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표적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가격이 이날 한때 코인당 3만1000달러 선까지 내려가며 2주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전 4시 30분께 3만1800달러까지 내려가며 3만2000달러 선이 무너지기도 했으나 이후 소폭 회복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3만2000달러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 8일 이후 처음이라고 경제매체 CNBC는 전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의 시가총액도 6002억7천만달러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