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이 수소 응용기술을 통해 탄소 중립 대한민국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21일 울산시 효성화학 용연공장 부지에서 개최된 수소 사업 비전 선포 및 액화수소플랜트 기공식에서 효성과 린데는 이 같은 비전에 대해 전했다.
효성중공업은 국내 수소 충전시스템 시장점유율 1위에 자리하고 있고 린데는 글로벌 가스 및 화학 전문기업이다.
이날 행사에는 조현준 효성 회장과 성백석 린데코리아 회장을 비롯해 송철호 울산시장,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조현상 효성 부회장, 이상운 효성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양사는 ▲수소 생산 및 충전 설비의 안정성과 신뢰성,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R&D 확대 ▲CO2를 배출하지 않는 블루수소 및 그린수소 추출 기술 개발 및 설비 국산화 ▲이산화탄소(CO2) 저감 기술개발을 통한 탄소중립 수소 사업 기반 구축 등 3대 과제를 정했다.
양사의 생산 합작법인 린데수소에너지㈜는 용연공장 부지에 연산 1만3천톤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완공해 2023년 5월부터 가동시킬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효성중공업은 중장기적으로 액화수소 생산 능력을 3만9천톤까지 늘리기 위해 5년 간 1조원을 투자한다.
판매 합작법인인 효성하이드로젠㈜은 액화수소 플랜트 완공 시점에 맞춰 액화수소 충전 인프라를 구축한다. 울산시에 국내 제 1호 액화수소 충전소를 건립하는 것을 시작으로, 정부의 대형 상용 수소차 보급 정책에 따라 전국 30여곳에 대형 액화수소 충전소를 건립할 방침이다.
양사는 기술 협력을 통해 2024년까지 린데의 크라이오 펌프 테크놀로지(Cryo Pump Technology) 를 적용한 액화수소 충전 기술 및 설비 국산화도 추진한다.
양사는 그린수소 생산과 더불어 CCU(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재활용)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국내 CO2 배출량의 10% 감축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저감 기술 개발 및 실증도 추진하기로 했다.
효성은 2008년 경기도 화성의 현대차 남양기술연구소에 국내 최초로 수소 충전소를 건립했rh 현재까지 국회, 세종정부청사 등 전국 총 18곳에 수소 충전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국내 시장점유율 35%를 차지하고 있다.
효성첨단소재는 2028년까지 총 1조원을 투자해 수소차의 연료탱크의 핵심 소재로 쓰이는 탄소섬유 생산량을 연산 2만4천톤까지 늘리기로 하는 등 수소 모빌리티 분야의 수소 경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