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서울 노후 아파트값이 신축 아파트보다 2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조사 통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준공 20년 초과 아파트값은 올해 상반기(1∼6월) 주간 누적 기준 3.0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준공 5년 이하인 신축이 1.58% 오른 것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서울을 5개 권역으로 나눠서 보면 20년 초과 아파트값은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이 3.78%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동북권 3.15%, 서남권 2.58%, 서북권 2.13%, 도심권 1.48% 등의 순이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지난해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이 더뎠던 구축 아파트값이 올해 호재를 만나 오르며 가격이 키 맞추기 한 것으로 보인다. 압구정 등 재건축 단지가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면서 분위기를 주도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지역 전체 집값을 끌어올렸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은 주간 누적 기준 2.29% 올랐다. 구별로는 노원구가 3.80%로 가장 많이 올랐고, 송파구(3.54%), 서초구(3.31%), 강남구(3.05%), 마포구(2.75%), 양천구(2.53%), 도봉구(2.35%) 등이 상승률 7위 안에 들며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지난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작년 6·17 대책의 핵심 내용인 재건축 조합원의 2년 실거주 의무 방침을 백지화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국토위는 상임위 법안 논의 과정에서 '실거주 2년' 의무 조항을 삭제했다.
이에 대해 정부가 설익은 정책을 내놔 오히려 전세난만 부추겼다는 비판도 나온다. 실거주 요건을 채우기 위해 재건축 아파트로 들어가는 집주인들이 늘면서 세입자들이 쫓겨나게 됐고 결과적으로 전세 물건이 줄어 전세난이 심화했다는 것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책을 만들 때는 해당 정책이 국민의 삶에 미칠 단기적·장기적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입안해야 하는데, 이번 정부에서 부동산 대책은 충분한 고려 없이 남발한 측면이 있다"며 "기존의 정책들도 효과를 다시 검토해 필요하다면 수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