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코로나19' 관련 백신 접종이 활발히 진행되고는 있으나,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코로나19 확산세가 짙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치료제가 필요한 상황 속에서 국내에서는 셀트리온이 이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와 관련해 변이 대응 추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했고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 주요 변이에 대해 중화능 및 치료 효능을 확인했다. 셀트리온은 이들 변이 뿐 아니라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신규 변이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중화능을 담보하기 위해 다양한 중화항체 후보군에서 발굴한 칵테일 항체 'CT-P63'을 추가해 대응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춰나갈 계획에 대해 전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의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동물효능시험 유효성 검증 결과를 바이오아카이브(bioRxiv)를 통해 공개했다. 셀트리온은 이에 대해 지난 26일 알렸다. 미국 생물화학 및 생물물리 연구저널 BBRC(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에 제출했다.
셀트리온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변이에 대응하기 위해 변이 대응 플랫폼을 강화하고 있다. 렉키로나 개발 초기 당시 확보한 CT-P63은 현재까지 임상물질 생산을 완료하고 임상 1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의 변이 대응 추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해 CT-P63 상용화도 함께 준비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치료 옵션 다양화를 위해 흡입형 항체 치료제 개발 관련 특허 및 기술을 보유한 미국 소재 바이오 기업 인할론 바이오파마(Inhalon Biopharma)와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미 개발에 착수한 렉키로나의 제형 업그레이드 작업을 본격화했다. 흡입형 렉키로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기도 점막에 항체를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투여 가능하다.
셀트리온은 전 세계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인도발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렉키로나 동물시험 결과, 강력한 중화능을 확인한 상태다. 최근 남미 페루에서 유행하고 있는 람다 변이에 대해서도 야생형 바이러스 대비 중화능이 유지되는 등 중화능 결과를 확보했다.
셀트리온은 현재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세포주 및 동물시험을 통한 렉키로나의 대응력 관련 실험 결과를 지속 발표할 방침이다.
현재 전 세계에서 백신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세가 주춤하고 있긴 하나, 변이 바이러스는 상황을 뒤집어버리고 있다. 일상 생활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꺾어버리고 있는 것이다.
제약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세계적으로 변이 바이러스가 퍼져 있는 상황이다. 현재 출시된 코로나19 백신들은 델타 변이 등에 예방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며 "셀트리온의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는 1회 투약 후 중증 악화 비율을 70% 낮춰주고 있다. 변이와 관련 효능 연구도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미 변이 대응 추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한 상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