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신사업 역량을 확대 중인 가운데, B2B(기업간 거래)에서는 스마트모빌리티 사업이 있다. 해당 분야에서 5G(5세대 이동통신)를 활용해 기존에 없던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스마트모빌리티는 커넥티드카와 주율주행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다. 커넥티드카는 LG그룹의 전장 사업 역량과 시너지를 얻고 있으며 자율주행은 통신 기반의 솔루션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개념인 커넥티드카는 자동차를 통신기기로 사용해 버린다. 연동하는 차원이 아닌 것이다.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으로 차량 조작이 가능하며 운전자가 자주 가는 장소를 스스로 검색해주기도 한다.
자율주행이란, 혼자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말한다. 무인 차다. 5단계까지로 나뉘어져 있는데, 5단계가 완전 자동화를 말한다.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없는 단계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은 3-4단계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 3단계는 제한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한 수준이고 특정 상황에서 운전자 개입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LG유플러스의 커넥티드카 사업은 작년 글로벌 자동차 기업과 커넥티드카 통신 및 인포테인먼트 분야 협력 계약을 맺는 등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전기차에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기도 하다.
자율주행과 관련해서는 정부의 미래차 전략에 따라갈 수 밖에 없으며 LG유플러스는 자사의 5G 네트워크와 통신 기술 인프라를 자율주행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5G 통신망이 없다면 도로 정보 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자율주행이 불가능하다.
자율주행과 관련해서 LG유플러스는 공개 시연을 해보이기도 했다. 5G 자율주행차가 횡당보도와 교차로를 준수하며 목적지 까지 이동하는 시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같은 자율주행 기술은 국내 자동차 산업 기술력 제고에 기여하는 것도 있으나, 향후 교통 약자를 위한 서비스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LG유플러스를 넘어 LG그룹 자체적으로 계열사 LG유플러스가 보유한 5G 인프라를 활용해 자율협력 주행을 선점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며 "LG유플러스는 5G 이동통신 경쟁력을 기반으로 커넥티드카 등 신사업 역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디지털 혁신 기업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