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을 반영하면 실제 실업률이 공식 실업률 수치보다 약 0.3%포인트(p) 높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코로나19와 실업률 하향편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8월까지 조정(corrected) 실업률은 공식 실업률을 평균 0.29%p 웃도는 것으로 추정됐다.
조정 실업률은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 탓에 늘어난 것으로 짐작되는 구직단념자 수를 공식 통계상 실업자에 더해 산출한 실업률이다.
공식 통계에서 구직단념자는 '구직활동'이라는 실업자 조건에 맞지 않기 때문에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한은은 실업자의 개념을 구직활동을 한 사람뿐 아니라 구직활동은 하지 않았지만 '취업을 희망한 사람'까지 확장해 실업률을 구했다.
예를 들어 음식점 등에서 일하기를 원했지만 거리두기와 영업 제한으로 취업 가능성이 낮아지자 아예 구직을 단념한 사람, 채용 시험이나 면접이 연기 또는 취소된 사람, 보육시설 폐쇄로 육아 부담이 늘어나 구직활동을 엄두도 내기 어려운 사람 등 공식 통계에서는 실업자에 산입되지 않은 경우들이 이번 분석에서는 실업자로 간주됐다는 얘기다.
공식 실업률과 조정 실업률 간 격차(공식-조정)를 인구 특성별로 보면, 여성(-0.40%p)이 남성(-0.30%p)보다 높았고 청년층(-0.74%p)이 중년층(-0.23%p)을 웃돌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공식 통계에서 특히 여성과 청년층의 실업자가 실제보다 적게 파악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공식 실업률은 이미 지난 2분기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조정 실업률의 경우 3분기 또는 4분기에나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팬데믹(감염병 대유행)과 같은 이례적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좁은 의미에서 노동시장 유휴 수준을 측정하는 실업률 외 다양한 보조 지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