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전달에 이어 7월에도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2분기 성장률이 상하이 봉쇄 등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충격으로 우한 사태 이후 최저인 0.4%까지 급락해 5.5%의 연간 성장 목표 달성이 어려워진 상태이나 중국이 미국의 긴축 기조를 거슬러 추가 완화 정책을 펼칠 공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일 7월 1년·5년 만기 LPR가 각각 3.7%, 4.4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LPR는 명목상으로는 10개 지정 은행의 최우량 고객 대출금리 동향을 취합한 수치지만 중국에서는 모든 금융 기관이 이를 대출 영업 기준으로 삼아야 해 실질적으로 기준금리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신용대출, 기업대출 등 광범위한 대출 상품에 영향을 주는 1년 만기 LPR는 지난 1월 인하되고 나서 2월부터 6개월째 동결됐다.
장기 상품인 주택담보대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5년 만기 LPR는 지난 5월 인하 후 현 수준을 유지 중이다.
앞서 시장에서는 코로나19 확산 충격으로 중국이 경기 부양 필요성이 큰 상태지만 자본 유출 등 미중 통화정책 탈동조화에 따른 부작용 우려, 돼지고기를 중심으로 한 소비자 물가 상승 조짐 등으로 중국이 이달 LPR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중국 당국은 경기 급랭에 대응해 이미 작년 말부터 반년 가까이 정책 금리와 지급준비율을 잇따라 인하하는 등 미국 연준의 긴축 기조와 반대로 완화 기조를 유지해와 정책 여력을 거의 소진했다는 평가가 많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중국이 향후 경기 부양 차원에서 기준금리나 지준율을 인하해도 하반기 중 한차례, 그것도 소폭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최근 들어 중국 당국도 올해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무리한 부양에 나서지는 않겠다는 메시지를 일관되게 내놓고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19일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주최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와의 화상대화에서 성장률보다는 고용과 물가 안정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하면서 "고용이 상대적으로 충분하고 가계소득이 증가하고 물가가 안정적이라면 성장률이 다소 높거나 낮아도 용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전문가들은 당국이 시장 전체에 무차별적 영향을 끼치는 금리 및 지준율 인하보다 특정 지원 대상에 정책 효과를 집중하는 재대출같은 '구조적 도구' 사용을 더욱 선호할 것으로 본다.
밍밍 중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증권시보와 인터뷰에서 "중앙은행 책임자가 최근 구조적 통화정책 도구 사용에 중점을 두는 발언을 했다"며 "과학·기술, 노인복지, 교통물류를 지원 대상으로 하는 재대출이 시행되면서 특정 대상 지원 강도를 높여나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