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만의 최악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미국인들이 식료품점이나 식당 대신 미국판 '천원숍'인 달러 스토어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한 생필품을 더욱 저렴하게 대량 구매할 수 있는 창고형 할인매장의 인기도 뜨겁다.
시장조사업체 인마켓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 내 할인 체인에서의 식료품 평균 지출액은 지난해 10월보다 71% 급증했다.
같은 기간 일반 식료품점에서 동일 제품 지출액은 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렴한 식료품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자 달러 스토어들도 기존의 통조림 또는 냉동제품뿐 아니라 신선 식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1만8천 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는 '달러제너럴'은 현재 2천300곳에서 신선 농산물을 판매 중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해당 매장 수를 1만 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패밀리달러'의 모회사인 달러트리는 WSJ에 이 체인이 기존 식료품점을 대체하지는 않겠지만 보완하는 역할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패밀리달러 매장 1만6천여 곳의 대부분에서 냉동 과일과 채소, 과일주스, 견과류, 밀가루 제품, 계란, 우유를 팔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달러제너럴' 매장 [AFP/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달러제너럴' 매장 [AFP/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62548/afp-db.jpg?w=600)
창고형 할인매장 매출도 늘었다.
월마트의 회원제 할인매장 샘스클럽은 전년 동기보다 순이익이 10.5% 증가했다고 월마트는 밝혔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보다 9.1% 급등했으며 식료품과 에너지와 같은 필수 품목의 상승률이 치솟은 영향으로 해석된다.
특히 저소득층은 평소 사용하던 것보다 더 저렴한 브랜드로 바꾸는 등 지출을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