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산율이 또다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출생아 수도 26만명대로 줄어들었다.
합계출산율이 0.81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를 기록했다.
▲지난해 출생아 26만명, 합계출산율 0.81명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6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1천800명(-4.3%) 감소했다.
연간 출생아 수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까지만 해도 100만명대였으나 2001년 50만명대, 2002년 40만명대로 줄어들었다.
이후 2017년 30만명대로 내려앉은 뒤 불과 3년 만인 2020년부터 20만명대까지 추락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조출생률)도 5.1명에 그치며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전년 대비 0.03명(-3.4%) 감소했다.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1명에 못 미치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었다.

▲40대 초반 출산율 역대 최고…평균 출산 연령 33.4세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27.5명)이 3.1명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전체 연령 가운데 출산율이 가장 높은 30대 초반 여성(76.1명)도 1년 새 출산율이 2.9명 감소했다.
반면 30대 후반(1.2명), 40대 초반(0.5명) 등 35세 이상 여성 출산율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40대 초반 여성의 출산율은 7.6명으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도 33.4세로 올라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부부가 결혼 이후 첫째 아이를 출산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2.5년으로, 10년 전(1.8년)과 비교하면 0.7년 늘었다.
결혼 후 2년 안에 첫 아이를 갖는 경우도 절반(51.7%) 정도에 그쳤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결혼·출산 자체가 늦어지면서 고령 산모 출산율이 늘었지만,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 출산율이 줄면서 전체 출산율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자녀가 많은 '다둥이' 가정 역시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셋째 이상으로 태어난 아이는 2만1천명에 그치며 전년 대비 5.9% 감소했다.
셋째 이상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역대 최저치인 8.2%로 떨어졌다.
여자아이 100명당 남자아이 수를 뜻하는 출생 성비는 105.1명으로 전년보다 0.3명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