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제주도 청정에너지 대전환 로드맵 발표

제주특별자치도가 12일 전력 에너지 생산·공급·활용 체계를 청정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재편, 산업과 생활에 확대 적용하는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을 발표했다.

에너지 생산, 활용, 전환, 산업화와 취약계층 보호 등 전력 시장·제도의 선제적 운영으로 청정에너지 거점 및 특화지역을 조성하고 대한민국 탄소중립 2050 실천에 앞장서겠다는 구상이다.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에는 풍력·태양광 공공성 확대, 기저 전원 그린 수소 발전 전환, 산업 분야 청정에너지 전환 등의 핵심과제가 포함됐다.

제주도는 전국 유일의 공공주도 풍력 개발 정책 운영 경험과 성과를 축적한 만큼 풍력과 태양광 발전의 공공성을 강화해 정의로운 분배에 앞장설 계획이다.

제주 에너지 전환 비전도
제주 에너지 전환 비전도 [제주도청 제공]

이를 위해 풍력자원 공공적 관리기관을 신설하고 공론화 과정을 통해 정의로운 분배가 이뤄지도록 이익을 공유하고 도민과 상생 모델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는 도내 전력의 50% 이상을 담당하는 화력발전소를 그린 수소로 점진적으로 전환하여 그린 수소 아일랜드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LNG 복합발전기의 수소 혼소를 50% 이상 확대하고 신규 LNG 도입 시 수소 발전 및 수소 전소 터빈을 도입해 나가며 내연, 기력 발전기도 점차적으로 수소 전소 터빈으로 전환할 전망이다.

먼저 공공영역에서부터 버스·청소차·화물차 등이 수소차로 전환되면 가정 내 LPG·LNG 사용에도 수소 혼소 및 적용을 통해 거점·특화지역을 조성하고 연결해 나갈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어서 재생에너지 기반의 전력 시장 시범 적용을 기회 삼아 전력 데이터 및 배터리 산업 육성에도 힘을 쏟는다.

그린 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 계획과 연계, 재생에너지 발전 예측·운영·거래 등을 활용하거나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을 통해 데이터 산업과 전문가를 키워낼 계획이다.

제주도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 발표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 발표 [제주도청 제공]

아울러 설비 제조, 유지·보수, 안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 일자리 창출·기업 육성과 함께 수소융합 대학원, 수소 학과 설립도 추진한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제주도는 에너지 전환을 통해 대전환의 흐름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이를 제주의 미래 성장엔진으로 활용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