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8.8% 전월 比 5.8%p 상승
-7월 대비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9.5p 상승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8.8%로, 지난 6월보다 5.8%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77.6%에서 80.3%로 2.7%p 상승했고, 비수도권인 기타 지역도 57.0%에서 68.9%로 11.9%p 올랐다.
5대 광역시는 63.5%에서 62.8%로 0.7%p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중 서울 아파트 입주율은 6.5%p 오른 85.7%를, 인천·경기권은 0.7%p 오른 77.6%를 각각 나타냈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권 13.7%(45.0%→58.7%), 제주권 21.6%(58.1%→79.7%), 광주·전라권 9.9%(60.0%→69.9%), 대전·충청권 5.9%(60.6%→66.5%), 대구·부산·경상권 0.5%(62.4%→62.9%)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주산연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강원권, 제주권, 광주·전라권은 지난 7월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적어 입주율이 상승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강원권, 제주권은 전 월 대폭 하락(강원권 13.3%p, 제주권 8.5%p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입주 원인으로 '기존 주택 매각지연'(38.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세입자 미확보'(25.9%), '잔금대출 미확보'(20.4%)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특히 세입자 미확보를 꼽은 응답 비율이 6월 20.8%에서 7월 25.9%로 높아졌다.
주산연은 "8월 말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 상한제)을 시행한 지 4년이 되면서 한 차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물량이 시장에 대거 풀릴 예정"이라며 "이에 따른 전셋값 상승으로 임대인과 임차인 간 거래 희망 가격 차이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돼 세입자 미확보가 입주율에 끼치는 영향이 한동안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8.0으로 7월 전망지수보다 9.5p 상승했다.
이 지수는 100을 넘으면 입주 상황이 전달에 비해 나아질 것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 아래면 그와 반대 상황을 나타낸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22.1p(77.4→99.5), 광역시는 10.0p(80.0→90.0), 도지역은 4.4p(77.8→82.8) 각각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13.7p 오른 108.1을 기록했으며, 인천은 34.1p 오른 93.3을, 경기는 18.3p 오른 97.0을 각각 나타냈다.
지방은 울산 14.3p(78.5→92.8), 부산 13.6p(76.4→90.0), 광주 12.7p(64.2→76.9), 대구 12.1p(83.3→95.4), 대전 7.1p(85.7→92.8) 상승해 수도권과 지방광역시를 중심으로 입주전망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천은 전월 큰 폭으로 하락했으나(6월 77.7→7월 59.2, 18.5p 하락) 다시 반등하여 90선을 회복했다.
주산연은 "8월 인천지역 내 입주 예정된 대단지 아파트 두 곳 모두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GTX-B노선, 강화IC 등 서울과 이어지는 교통 인프라 또한 우수해 입주전망이 긍정적으로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주산연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대출 상품 출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연기 등으로 주택시장 분위기가 개선되고 있는 가운데 8월 전국적으로 3만가구가 넘는 아파트 입주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라며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만큼 주택사업자들의 기대 심리가 입주 전망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