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필수 금융상식 A to Z] 그린메일-㊵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그린메일(Greenmail)'이다.

그린메일은 특정 기업의 경영권을 위협하며 금전적 이익을 취하는 수법으로, 이를 둘러싼 논란과 사례들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그린메일은 적대적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한 주식 매집 후, 해당 기업의 경영진에게 프리미엄을 받고 보유 주식을 되파는 전략을 뜻한다.

쉽게 말해, 특정 기업의 주식을 대량 매입하여 경영권 위협을 가한 뒤, 경영진으로부터 높은 가격에 주식을 되사라는 압박을 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는 주로 경영권 방어가 약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린메일러(Greenmailer)라고 불리는 투자자는 먼저 특정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사들여 지분율을 높인다. 이후 이 투자자는 해당 기업의 경영진에게 경영권을 방해하지 않는 대가로 높은 가격에 주식을 되사도록 요구한다.

경영진 입장에서는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해 이 요구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으며, 결과적으로 그린메일러는 짧은 시간 안에 막대한 이익을 챙길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기업은 불필요한 자금 유출로 재무 부담이 커지고, 경영 안정성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업의 장기적인 발전보다 단기적인 수익만을 노리는 그린메일은 주주 가치를 왜곡시키고, 시장 신뢰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업 이미지[무료 이미지]

국내외 그린메일 사례로는 SK 그룹과 소버린 자산운용, T. 부트 스트랩과 RJR 내비스코 등이 있다.

▲SK 그룹과 소버린 자산운용

2003년, 영국의 소버린 자산운용은 SK그룹의 지주회사인 SK의 지분 14.99%를 확보하며 경영권 분쟁을 일으켰다.

소버린은 SK의 투명 경영과 지배 구조 개선을 요구하며 경영권 참여를 시도했으나, 실제 목표는 주식 매각을 통해 프리미엄을 챙기려는 것이었다. 결국 소버린은 SK 경영진과의 협상 끝에 지분을 높은 가격에 매각하며 약 1조 원의 수익을 올렸다. 이 사건은 국내 기업들에 경영권 방어의 중요성을 일깨운 대표적인 그린메일 사례로 꼽힌다.

▲T. 부트 스트랩과 RJR 내비스코

1980년대 미국의 유명 사례로, T. 부트 스트랩이라는 투자 펀드는 RJR 내비스코의 주식을 대량 매입한 후 경영진에게 막대한 프리미엄을 요구했다. RJR 내비스코는 경영권을 지키기 위해 거액을 지불하고 이들의 지분을 되사야 했으며, 이는 경영권 방어 전략을 둘러싼 기업들의 대응 방안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린메일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에서는 ‘포이즌 필(Poison Pill)’이라는 경영권 방어 수단을 도입했다. 이는 특정 비율 이상의 주식을 매입하려는 시도를 무효화하거나, 기존 주주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추가 주식을 매입할 권리를 부여해 경영권 위협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한국 역시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 우호 지분 확대 등 다양한 방어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그린메일은 단기적으로는 투자자들에게 큰 수익을 안겨줄 수 있지만, 기업과 시장 전체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경영권 방어가 취약한 기업들은 그린메일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장기적인 기업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는 투명한 경영 구조와 더불어 경영권 방어 수단을 다각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Source: Conversation with chatGPT]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4062290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