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필수 금융상식 A to Z] 기펜재

기펜재(Giffen Good)는 가격이 상승할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를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인 경제학 법칙인 수요의 법칙(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에 반하는 특이한 경우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펜재는 그 반대로 가격이 상승할 때 수요도 증가한다.

가격이 상승할 때, 일반적으로는 소비자가 대체재를 찾는다.

그러나 기펜재는 대체재가 거의 없거나, 대체할 수 있는 더 나은 재화가 매우 비싸서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해당 재화를 구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때, 소비자의 실질 소득이 감소하여 더 저렴한 상품을 선택하는 소득 효과가 더 강하게 작용해 수요가 증가한다.

기펜재는 보통 필수재로, 생계 유지에 필요한 저가의 기초 생필품에서 발생한다. 저소득층 소비자에게 이러한 재화는 필수적이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도 다른 물건을 살 여유가 없어 해당 재화를 더 많이 소비하게 된다.

기펜재의 개념은 로버트 기펜(Robert Giffen)이라는 경제학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는 19세기 영국에서 저소득층이 주로 소비하는 빵과 같은 기본 식품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했다. 당시, 빵의 가격이 오르면 오히려 사람들이 빵을 더 많이 구매하게 되었는데, 이는 빵 이외에 다른 더 비싼 식품(고기, 채소)을 살 수 있는 여유가 없어 빵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결과였다.

한편, 기펜재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베블런재(Veblen Goods)가 있다. 베블런재는 가격이 오를수록 과시적 소비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를 말한다.

고급 시계, 명품 가방, 고급 자동차 등이 이에 해당하며, 소비자들이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 가격이 오를수록 더 많이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기펜재 현상을 통해 정책 입안자들은 가격 변동이 사회의 특정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보호 정책이나 생필품 가격 안정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곡물
[AFP/연합뉴스 제공]

기펜재의 사례들을 정리했다.

▲아일랜드의 감자 기근 (1845~1852년)

아일랜드의 대기근은 감자가 주식이었던 아일랜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식량 부족 사태다.

이 시기에 감자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일랜드 농민들은 다른 비싼 음식을 살 수 없었기 때문에 감자 소비량을 오히려 늘리게 되었다. 이는 감자가 기펜재로 작용한 대표적인 역사적 사례로 꼽힌다.

감자 이외의 식품은 너무 비싸서 살 수 없었고, 감자가 비싸지더라도 다른 식품을 대체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감자를 더 많이 소비해야 했다.

▲중국의 쌀 소비 (일부 저소득 지역)

중국의 저소득층 가구에서는 쌀이 기펜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쌀 가격이 상승하면, 저소득 가구는 쌀 이외에 더 비싼 음식(예: 고기, 채소)을 구매할 여력이 부족해, 오히려 쌀 소비를 늘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의 가처분 소득이 제한적인 경우, 쌀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본 식품이기 때문에 다른 식품을 포기하고 쌀을 더 많이 소비하게 된다.

▲방글라데시의 빵 소비

방글라데시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빵이나 쌀 같은 필수품의 가격이 오를 때 기펜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지역의 저소득층은 가격이 오르더라도 다른 식품을 대체할 수 있는 선택지가 부족해, 주식인 빵이나 쌀을 더 많이 구매해야만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Source: Conversation with chatGPT]

http://teen.mk.co.kr/economy/economy01_01_view.php?c1=2&c2=8&c3=11&idx=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