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부산항 글로벌 'TOP3' 육성 14조원 투입

정부가 부산항을 세계 최대 규모의 항만시설로 육성하기 위해 14조 원을 투입한다.

해양수산부는 부산항 경쟁력을 세계 3위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오는 2045년까지 총 14조 원에 달하는 투자를 집행하는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을 11일 발표했다.

새로운 항만시설을 통해 운영체계를 효율화하고 해운동맹 물량을 적기에 처리할 수 있도록 친환경·스마트 전환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선박의 대형화 트렌드에 맞춰 선박을 댈 수 있는 ‘선석’을 총 66개 구축하게 된다.

이는 현재 싱가포르가 건설 중인 차세대 시설 ‘투아스 항구’와 동일한 규모다.

또 현재 세계 최대 용량 선박은 컨테이너를 2만 4000개까지 실을 수 있는데, 해수부는 3만 개의 컨테이너를 실은 선박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정부의 부산항 글로벌 TOP3 육성전략 [행양수산부 제공]
정부의 부산항 글로벌 TOP3 육성전략 [행양수산부 제공]

이때 컨테이너 물동량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만큼 컨테이너 보관 공간도 기존보다 1.5배 더 넓게 편성한다.

한편 올해 부산항의 컨테이너 하역능력은 총 2120만TEU이며, 2032년 중간 단계에서의 부산항 하역능력은 3138만TEU까지 확대된다.

아울러 인근의 진해신항도 1단계 9선석을 전부 단일 운영사로 선정하면서 운영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를 통해 화물 처리 능력을 600만TEU로 높이고, 부산항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 외에도 해외 공급망 거점과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동남아·유럽 등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해외 물류센터를 현행 5곳에서 2027년 8곳, 2032년에는 16곳까지 늘리게 된다.

해수부는 이날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도 함께 공개했는데, 부산항 인근에 362만㎡의 항만배후단지를 건설해 글로벌 물류기업을 유치하고 투자를 유도하는 방안이 주로 거론됐다.

끝으로 최근 해양운송 업계의 트렌드인 신재생에너지 전환에 발맞추어 항만 내 친환경 발전 비중도 2032년까지 25%를 달성하고 2050년에는 완전한 친환경 전환을 이루어 낸다는 방침이다.

해수부 강도형 장관은 "보호무역주의 강화, 지역분쟁 및 해운동맹 변화 등 공급망 재편은 우리 항만에 위기이자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을 바탕으로 부산항을 글로벌 톱3 항만으로 키워 대한민국 경제를 든든히 지탱하는 글로벌 물류 중심으로 만들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Stat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