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월 생산자물가 0.6% 올라 17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

국제 유가가 오르면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내 공급 물가도 상승해 시차를 두고 향후 소비자물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12월(119.52)보다 0.6% 오른 120.18(2020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7% 올랐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제공]

전월 대비 등락률을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4.0% 상승했다.

농산물(7.9%)과 수산물(1.4%)이 출하 물량 감소 여파로 올랐다.

공산품은 0.6% 상승했다.

국제유가 오름세에 석탄및석유제품(4.0%)과 1차금속제품(1.2%) 등이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하수처리(2.8%) 등이 올랐지만 산업용도시가스(-2.5%) 등이 내리면서 전월 대비 보합을 보였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0.7%)와 사업지원서비스(1.1%) 등을 중심으로 0.4%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딸기(57.7%), 감귤(26.5%), 물오징어(8.4%), 멸치(13.9%), 가금류포장육(10.8%), 원두커피(8.4%), 경유(7.7%), 휘발유(5.6%), 부타디엔(9.3%), 휴양콘도(18.0%), 알루미늄주물(7.9%), 철강절단품(2.7%) 등은 올랐다.

반면 돼지고기(-5.0%), 원화수입수수료(-22.4%), 산업용도시가스(-2.5%) 등은 내렸다.

휘발유
[연합뉴스 제공]

특수분류별로는 전월대비 식료품은 1.9%, 신선식품은 10.3% 상승했다.

에너지는 1.1%, , IT는 0.6%, 식료품및에너지이외는 0.4% 각각 올랐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6% 상승했다.

원재료(0.7%), 중간재(0.5%), 최종재(0.6%)가 모두 올랐다.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넉 달 연속 오름세로, 지난해 12월(0.7%) 상승률은 지난해 4월(1.0%)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7% 높아졌다. 공산품(0.8%)과 서비스(0.4%) 등이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