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소비자심리지수 석달만에 악화 내수부진·수출둔화 우려 영향

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4로 2월(95.2)보다 1.8p 떨어졌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2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가운데 향후경기전망(70·-3p), 소비지출전망(104·-2p). 생활형편전망(92·-1p). 가계수입전망(96·-1p) 지수가 하락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105)는 6p 올랐다.

소비자동향
[한국은행 제공]

1년 뒤 집값 상승을 점치는 소비자의 비중이 늘었다는 뜻으로, 지난해 7월(+7p)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임금수준전망CSI(117)는전월대비 1p 하락했다.

금리수준전망지수(92)는 7p나 떨어졌다. 2024년 1월(-8p)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현재경기판단CSI(55)는 전월과 동일하고 향후경기전망CSI(70)는전월대비 3p 하락했다.

취업기회전망CSI(72) 및 금리수준전망CSI(92)는 전월대비 각각2p, 7p 떨어졌다.

현재가계저축CSI(93)는 전월과 동일하고 가계저축전망CSI(96)는 전월보다 1p 하락했다.

현재가계부채CSI(100) 및 가계부채전망CSI(99)는 전월보다 각각1p, 2p 올랐다.

소비자물가
[연합뉴스 제공]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7%로 2월과 같았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농축수산물(50.5%), 공공요금(48.8%), 공업제품(31.2%) 순이었다.

전월에 비해서는 공업제품(+7.3%p), 농축수산물(+3.8%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석유류제품(-17.1%p) 비중은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18일, 전국 2천5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