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영향, 3국 모두 “내년 매출 감소 예상” 中·日, 韓보다 충격 클 듯
-투자계획 韓·日 “변경 없음” 가장 높아, 中은 “투자 확대”도 고려
미국 관세 정책으로 한·중·일 제조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이 내년도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을 우려가 제기됐다.
각국 기업들은 원가·비용 절감 등 대응 전략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3국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 303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년 매출 감소 예상치는 한국 기업 평균 –4.0%, 중국 기업 평균 –6.7%, 일본기업 평균 –7.2%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업종별 차이가 있었으나 ▶반도체·전자, ▶자동차·자동차부품, ▶기계 및 산업장비, ▶철강 및 금속제품 등 주력 수출업종에서 5~10% 이상 매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높았다.
한국은 ▶기계 및 산업장비가 –12.2%, 중국은 ▶철강 및 금속제품이 –11.7%, 일본은 ▶반도체·전자제품 –10.4%로 각각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3국 평균으로는 ▶철강 및 금속제품이 가장 큰 하락폭(–10.3%)을 보일 것으로 조사됐다.
트럼프 정부에 대응한 투자 계획 조정 여부를 묻자 한중일 모두에서 '변경 없음'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만 중국은 '투자 확대' 응답이 30%에 근접했다.
한국은 '변경 없음'이 74.3%로 가장 많았으며 '검토 중'(19.8%), '확대'(4.0%), '축소'(2.0%) 순으로 높았다.
일본은 '변경 없음' 61.4%, '검토 중' 27.7%, '축소' 5.9%, '확대' 5.0%였다.

중국도 '변경 없음'(38.6%)이 가장 많긴 했으나 그 비중이 비교적 작았고 '확대'가 28.7%로 2위를 차지했다. '현재 검토 중'이 20.8%, '축소'가 11.9%다.
한경협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고관세 압박에도 불구하고 투자 확대를 고려하는 배경으로 대규모 정부 보조금에 기반한 전략기술 자립화 정책 지원, 위안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미국이 국내 산업 보호를 목적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한·중·일 기업들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보다는 원가·비용 절감을 우선 대응 전략으로 삼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묻는 질문에서(해당사항 모두 선택), 한국 기업 46.0%, 중국 기업 61.0%, 일본 기업 41.0%가 ‘원가 및 비용 절감’을 꼽아 세 나라 모두 해당 항목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기업 이미지[무료 이미지] 기업 이미지[무료 이미지]](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4595/image.jpg?w=560)
‘미국 현지 생산․투자 확대’ 응답은 한국 기업 11.0%, 중국 기업 17.0%, 일본 기업 21.0%로 일본 기업들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비롯한 지역무역협정이 도움이 될지 묻는 문항에선 중국 기업들의 동의율(75.2%)이 가장 높았다.
한국은 38.6%, 일본은 20.8%였다.
미국의 관세 리스크로 인한 대외여건 및 경영환경 불확실성을 대응하기 위해 한·중·일 기업들은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우선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정부에 ▶세금 감면(韓 58.0%, 日 41.0%), ▶재정 또는 보조금 지원(韓 58.0%, 日 39.0%), ▶관세 감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韓 46.0%, 日 58.0%) 등을 희망했다.
중국 기업은 한·일과 다르게 ▶신시장 개척 지원(60.0%), ▶관세 감축 외교 노력(58.0%), ▶국내 산업 투자(47.0%) 순으로 정부 역할을 주문했다.
이번 조사는 모노커뮤니케이션즈·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5일까지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