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하반기 원화 가장 강세

[재경일보 박성규 기자] = 통화가치 약세를 통해 경기를 부양하려는 ‘글로벌 환율전쟁’ 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원화는 하반기 미국 달러화에 비해 가장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우리도 추가 금리인하 등 원화강세 압력 완화를 위한 대처가 필요한다는 지적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한동안 잠잠하던 ‘글로벌 환율전쟁’ 은 6월 유럽중앙은행(ECB)이 각종 통화완화 정책을 통해 적극적인 경기 진작에 나서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재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구로다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2% 물가목표 달성이 어려우면 즉각적인 통화완화책을 내놓을 수 있다” 고 언급하면서 '환율 전선' 은 이제 일본을 거쳐 신흥국으로까지 확산되는 분위기다.
17일 하나대투증권에 따르면 유럽중앙은행이 통화완화 정책을 발표한 지난 6월 4일 이후 지난 12일까지 주요 32개국 통화의 미 달러화 대비 통화가치 변화율을 분석한 결과, 원화는 -0.9% 변동해 소폭 절하된 것으로 집계됐다.

원화는 7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뉴질랜드 달러화(-3.3%), 남아프리카공화국 란드화(-2.3%), 콜롬비아 페소화(-5.0%)보다도 통화가치 절하율이 낮았다.

한국이 8월 기준금리가 인하된 점을 감안하면, 원화가 사실상 하반기 들어 가장 강세를 띤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원화보다 절하율이 낮거나 절상된 통화는 8개였다. 그러나 모두 환율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제한된 복수통화 바스켓·페그제를 채택하고 있거나, 기준금리 인상 이슈가 있는 국가 화폐였다. 

중국 위안화(1.9%)와 홍콩 달러화(0.0%), 싱가포르 달러화(-0.4%)는 바스켓·페그제 환율제도를 갖고 있다. 또 말레이시아 링깃화(1.3%), 필리핀 페소화(-0.2%)는 7월 이후 한두 차례 기준금리를 올렸고, 태국 바트화(0.2%), 인도네시아 루피아화(0.6%), 대만 달러화(0.2%)는 내년 1분기내 기준금리 인상 이슈를 갖고 있다.

한편, 24개국 가운데 절하율이 가장 컸던 통화는 러시아 루블화(-7.2%)였고 이어 스웨덴 크로나화(-6.7%), 칠레 페소화(-6.6%) 순이었다. 유로화는 -4.7%, 일본 엔화는 -4.3%, 영국 파운드화는 -2.8%의 절하율을 기록했다. 

신동준 하나대투증권 리서치센터 자산분석실장은 "원화의 경우 8월 기준금리 인하가 아니었다면 강세 압력이 더욱 강했을 것” 이라며 “내수부양 효과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추가 금리인하 등 원화강세 압력 완화를 통해 수출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 고 제안했다.